학술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Trend of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Studies: Promoting the Social and Communica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선경 이소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25~5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부모 개입 중재 중 유아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촉진을 위한 국외 단일대상 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의 개괄적인 특성, 효과크기, 부모 훈련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부모 개입 중재 연구들이 분석 대상 논문이 되었으며, 연구 대상에 부합한 논문은 20편이였다. 사회적, 의사소통적 기술 촉진을 위한 중재는 다양하였으며 그 중 중심축 반응 훈련(PRT)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부모 개입 중재는 모든 연구의 결과에서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의 효과크기 분석에서는 비중복 자료 비율(PND)을 사용하여 연구마다 다양한 결과를 내어 매우 큰 효과크기(비중복 자료 비율 90초과)부터 효과 없음(비중복 자료 비율 50미만)을 나타내었으며 평균적으로는 효과가 작음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부모훈련의 특성을 살펴보면 회기 및 훈련 시간 등은 다양하였고, 평균적으로 5개 이상의 교수요소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적 기술 촉진을 위한 부모 개입 중재의 향후 연구와 현장적용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2002-2012) on interventions aimed of enhancing the social and communic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wenty studies coded for overview.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social and communicative behavior were various,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methods were Pivotal Response Training. All 20 studies reported positive outcomes for parents and children. This article evaluated effect size of the literature, from highly effective to ineffective. On average, effect size was questionably effective. According to parent training method, duration of parent training was diverse, instruction methods were employed at least five method. Based on the results, this literature could help researchers and educators to consider option for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education were discussed following the literature review.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학생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비장애 유아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 Reading Vocabulary Knowledg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Special Primary Schools in Vietnam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활용에 따른 사회역량변화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