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이용수 0
- 영문명
-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Adult Learning Context and Perspectiv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병건 박유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385~4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문가로서의 특수교육교사는 다양한 학생의 학업성취와 생활지도 등에서 복잡하고 전문적인 역할 수행 및 책임을 지니며, 끊임없는 교육정책과 새로운 교육방법 등의 출현으로 인해 성인학습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된다. 이로 인해 특수교사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현재 유아특수교사를 위한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주요 전문성 발달 접근을 탐색하여 교사발달 프로그램의 향상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전환학습이론(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로서 특수교사의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전문성 발달의 필요성과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끝으로, 유아특수교육의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의 향상을 위해 구체적인 전문성 발달의 방향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expertise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intensive, encompassing more responsibilities with more diverse group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se roles and responsibilities have been driven by changes in educational policies, practices, and values, requiring them to be more knowledgeable about curriculum, disabilities, and interventions in specific areas. Accordingly, the expertise required to effectively fulfill such roles has grown, it is essential that teachers participate in ongoing professional development(PD) that provides them with opportunities to deepen their knowledge and keep teachers up-to-date on new knowledge and approaches.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improve a PD institute/program, this paper aimed to offer alternate, promising PD approaches that increase teachers' knowledge and expertise in practice. Also,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was applied as a way to increas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and proactive learning and application of PD contents and knowledge to their classrooms. Finally, the authors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better implementations of PD and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전문성 발달과 전환학습이론
Ⅳ. 국내 유아특수교사 교육에의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학생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비장애 유아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 Reading Vocabulary Knowledg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Special Primary Schools in Vietnam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활용에 따른 사회역량변화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