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School Life for Deaf Youth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동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279~29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각장애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경험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교생활을 경험한 청각장애 청소년 4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의미단위 요약 24개, 하위 구성요소 10개, 구성요소 5개를 발견하였다. 하위 구성요소는 본질을 형성하는 현상의 유형이고, 구성요소는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의 본질이다. 구성요소인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의 본질은 ‘새로운 곳으로의 진입’, ‘군중 속의 외로운 자신’, ‘나와 함께하는 사람에 대한 인식’, ‘자신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원함’, ‘정체성의 형성’인 것으로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을 탐구하여 당사자 입장에서 그 의미와 구조를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청각장애 청소년에 대한 학교교육 및 그 외 다양한 교육적 접근에 있어서 청각장애 청소년 당사자의 관점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school life for deaf youth,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s using the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of Giorgi targeting 4 deaf youths who experienced the school life. Based on the analysis, 24 meaning units, 10 sub-constituents, and 5 constituents were found. A sub-constituent was the types of phenomenon that formed the essence and the constituent was the essence of experience of school life for deaf youth. The essence of experiences of school life for deaf youth was identified as 'entry into a new place', 'being lonely inside the crowd', 'awareness on the people who is with me', 'want proper education for himself' and 'formation of identity.'This study had significance in that it discovered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experience of school life for deaf youth in their perspective, and through this, it provided the fundamental data for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deaf youths for the school education and other variety of educational approach on the deaf youth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학생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비장애 유아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 Reading Vocabulary Knowledg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Special Primary Schools in Vietnam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활용에 따른 사회역량변화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