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and Recognition of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임혜경 박재국 김은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339~36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를 알아보고, 여가활동참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단순무선표집방법으로 선정된 부산, 울산, 경남지역 소재 학교 중 일반학교에 통합되어 있거나 특수학교에 재적 중인 학생,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학생 110명이다. 조사지는 여가활동참여 실태는 한국 문화관광연구원(2007)이 개발한 7개 영역 총 37개 항목의 여가활동참여 유형을 토대로 본 연구 목적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6개 영역 총 1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여가활동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여가인지는 Witt와 Ellis(1987)가 개발하고 원형중(1989)이 번안 및 표준화 작업을 하였으며, 이정법(2012)이 활용하여 신뢰도가 확보된 도구를 본 연구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4개 영역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3년 10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약 3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초기 180부를 배포하여 115부를 회수(회수율, 64%)하였고, 110부를 분석하여 얻어진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전체 여가활동 평균 점수는 중간보다 낮았으며, 발달장애 학생과 지체장애 학생 모두 관광활동 영역에 가장 자주 참여하고 있고, 스포츠활동 영역과 놀이·오락활동 영역에 비교적 덜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배경변인별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 정도는 학교급에 따라 놀이·오락활동 영역에서 차이가 있고, 일상생활 중에 도움받는 정도에 따라 놀이·오락활동 영역, 취미·교양활동 영역, 관람·감상활동 영역에서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학생의 전체 여가인지 평균 점수는 중간보다 낮았으며, 지체장애 학생이 발달장애 학생에 비해 다소 낮았다. 넷째, 전체 장애학생이 선호하는 여가활동참여 유형으로 자전거, 수영, 체조, 운동하기가 1순위이고, 장애유형별로는 발달장애 학생은 악기연주, 노래, 댄스하기가 1순위인데 반해 지체장애 학생은 자전거, 수영, 체조, 운동하기가 1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에게 보다 다양한 여가활동참여 기회를 제공해주기 위한 학교 현장에서의 지도가 요구된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학교-졸업 후 성인기에 접어든 전공과 학생들이 폭넓은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행복한 성인생활을 향유할 수 있도록 짜임새 있는 여가활동참여 프로그램 구안이 뒤따라야한다는 시사점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n the leisure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recognition on these activ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0 students who were included in regular and special classroom or attended to specialized vocational program in a special school. To surve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the modified questionnaires composed of 15 questions were used an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questionnaires composed of 16 question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low. Both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hysical disabilities joined in trip domain mainly, but rarely joined in sports and play-entertainment domains. Secon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ade and the degree of assistance. Third, the average of recognition on leisure activities was low, in particula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ognized lower tha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d. Four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ferred to join in riding bicycle, swimming and exercising. Based on these findings, supports to improve students' quality of life were offe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학생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비장애 유아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 Reading Vocabulary Knowledg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Special Primary Schools in Vietnam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활용에 따른 사회역량변화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