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이용수 0
- 영문명
- 네팔 특수교육의 실태와 과제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대영 Babu Ram Dhungana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405~4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네팔의 특수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네팔은 유네스코가 권장하고 있는 ‘모두를 위한 교육(EFA)과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지만 특수교육을 위한 별도의 법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고, 장애학생들의 다수는 교육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의료적 관점에 의한 장애의 진단과 분류로 인하여 이들의 교육적 요구에 적절한 정책적 배려와 교육 서비스 전달 체제를 확립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수학교가 있지만 하지만 수용할 능력이 부족하고 시설이 미비하여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장애학생들은 요구와 능력 수준에 관계없이 일반학교에 강제 통합되어 교육받음으로써 이들의 독특한 교육적 요구는 무시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네팔 특수교육 발전을 위해 사정, 판별, 통합교육, 교사 양성 모형 개발 등의 분야에서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즉, 네팔 특수교육의 발전 방안으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 지원을 촉진시키기 위한 법적 근거,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정부와 비정부 기관 간의 협력,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범국가적 노력, 특수교육 성과를 얻기 위한 OECD 국가들의 특수교육 실제에 대한 벤치마크, 장애아동의 진단평가 전문가 훈련, 통합교육에 대한 재 개념화와 서비스 전달 체제의 개선, 교사 양성과 재교육 체제의 확립 등에 관한 대안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in order to explore the gaps and identifies the strategies imperative to adopt in achieving the goal suggested by the UNESCO ' Education for All (EFA)' and '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 Effort in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lacks the strong legal base and the right to educ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ot guaranteed appropriately. Due to the poor classification system of disability and inappropriate diagnostic procedures, complexity has been risen to find out the educational needs providing necessary educational services. Although there are special and integrated schools, there is the little capacity to meet the demand of special education. To face these challenges, an extra effort with collaboration with various partners through fast track measures is recommended to ensure quality education for all children providing equitable access. To resolve the challenges those are hindering in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a model for reliable assessment, identification of disability, proper intervention on time, and capacity development through the overall policy review are proposed.
목차
I. Introduction
II.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II. Ways Forward
IV.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학생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비장애 유아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 Reading Vocabulary Knowledg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Special Primary Schools in Vietnam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활용에 따른 사회역량변화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