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정민 임해주 김경화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321~33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인식과 직무경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접근을 통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 6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반 구조적 및 개방식 인터뷰에 응답하였다. 인터뷰는 평균 98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인터뷰 내용은 분석과정을 통해 코딩(coding), 개념화(conceptualization), 그리고 범주(categories)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대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로 나눠졌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현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명시되어 있는 기능부분과 연관하여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모호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학교 또는 학급의 특수교사들에 비해 정시퇴근이 어렵고, 방학이 없다는 점, 방대한 업무량과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에 대해 소호하였다. 또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으로는 전문적인 행정기관으로써 독립·분리에 대해 강조하였으나, 부족한 예산으로 인해 그 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 total of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working at the Chungbuk and Chungnam. As a result of detaile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s, three categories were founded; the centers’ primary function, teachers’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ideas of improvement of the center. Along with three main categories, 12 sub-categories were deducted. For the interviewees’ perspective of the role of the center, the teacher responded that the primary role was special education service and administrative agency. For the interviewees’ occupational satisfaction, most of teachers were negative for their work situation due to no summer-winter vacation and difficulty of leaving the office at regular time. For the ideas or/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center, all of the interviewee gave a skeptical response on account of lack of budget which make possible to separate administrative offi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needed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to provide better services for the al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민,임해주,김경화. (2014).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6 (1), 321-338

MLA

김정민,임해주,김경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6.1(2014): 321-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