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Screening of Vocational disability and Exploring of Employmen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toc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동일 박희찬 홍성두 이해린 고혜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애인의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최선의 고용 및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장애 개념 및 기준에 기초한 적격성 판정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직업적 장애 개념이란 의학적 판단 외에 근로능력 및 사회적 생활능력까지를 포함하는 다면적 평가 방식에 기초한 장애 판정이다. 본 연구는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통해 직업적 경증장애와 직업적 중증장애 및 복지서비스 대상자를 분류하는 『직업기능스크리닝검사』의 가장 결정적인 핵심변인 하위영역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직업적 장애기준에 따른 직업적 경증장애, 직업적 중증장애, 그리고 복지서비스 대상자를 가장 잘 분류해내는 『직업기능스크리닝검사』의 하위영역은 작업기능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신체‧자립기능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인지‧문제해결기능의 경우 특정 점수범위에서만 분류기능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간명하고 효율적인 선별을 꾀하는 순차적 판별체계 및 지원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o provide the best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successful employment, the eligibility determination based on the appropriate disability concept and criteria should be first. The vocational disability is based on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including medical judgment, working ability, and social life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st critical core variables of “vocational function screening test”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s, the best sub-region of “vocational function screening test” that could classify subjects into mild disability, severe disability, and welfare services was job function. Then the physical function was followed. Only in a particular score range did cognitive problem solving function serve to classify them. Based on the result of decision tree analysis, simple, efficient and sequent screening system and service protocol were propo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학생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비장애 유아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 Reading Vocabulary Knowledg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Special Primary Schools in Vietnam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활용에 따른 사회역량변화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