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Mothers’ Responsive Interaction Interventions on th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with At-risk of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Mot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민혜 김진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103~1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의 위험을 가진 유아의 어머니에게 실시한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지도가 어머니와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머니 두 명에게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 네 가지 즉, 차례 주고받기의 균형을 맞추기, 발화 후 아동의 반응 기다리기, 어머니 또는 아동의 행동 설명하기, 아동의 발화 확장하기를 가르치고 어머니와 유아의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을 관찰하였다.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정에서의 놀이상황을 촬영하여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의 상호작용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유아들의 상호작용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상호작용 반응행동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at-risk of developmental delays learned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ies, and the effects on th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examined. Specifically, four strategies, such as balanced turn-taking, pause, descriptive talk, and expansion were taught to two mothers, and they were observed during play settings with their children at home. In order to measure interaction initiations and responses, the play setting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were videotaped and were used through partial interval record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ere used as the research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thers’ interaction initiations and responses changed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children’s interactive behaviors showed little change. Especially, interaction responses of children showed almost no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학생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비장애 유아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 Reading Vocabulary Knowledg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Special Primary Schools in Vietnam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활용에 따른 사회역량변화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