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Using a Smart Learning on the Independent Task Achievement and Task Performance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민정 이숙향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139~16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학년 지적장애 학생 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을 대상학생에게 적용하고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 걸쳐 학생들의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은 참여자의 과제 성취율을 향상시켰고 중재 종료 후에도 향상된 과제 성취율은 유지되었다. 둘째,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은 참여자의 과제수행행동을 향상시켰고 중재 종료 후에도 향상된 과제수행행동은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세 성취와 과제수행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using a smart learning on the independent task achievement and task performance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fif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appli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without intervention. Th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using a smart learning was applied for the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about task achievement and task performance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using a smart learning improved the percentage of the participants' task achievement and increased task achievement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Second, th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using a smart learning improved the percentage of the task performance behaviors and increased task performance behaviors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using a smart learning is an effective method in improving independent task achievement and task performance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중독 실태 연구
- 자기점검중재가 정신지체학생 학생의 정보검색 수행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ADHD인가? 영재인가?
- 자녀의 장애진단 시기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특성
- 고기능자폐 학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 사회과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도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일반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연구 메타 분석
- 배려증진프로그램과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학습양식과의 관계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