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특성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미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향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 평가 및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한 대상자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 18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 18명이었다. 연구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해 음독 과제, 작동기억, 어휘를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 과제에 있어 일반학생보다 낮은 수행력을 나타내었다.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인 과제는 구문의미이해력, 문장 따라 말하기, 마음읽기, 듣기이해력, 이야기글 읽기와 설명글이었다. 자폐집단 내 읽기이해력과제에서도 설명글이 이야기글보다 더 나은 수행을 보였다. 읽기이해력의 하위변인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읽기이해력은 어휘, 구문이해력, 마음읽기, 문장구성하기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마음읽기는 읽기유창성, 문장구성하기, 문제해결력 및 듣기이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의 읽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aids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decoding, reading fluency, listening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so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8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18 children who matched language developm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hildren in reading comprehension,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reading fluency, vocabulary, and syntax understanding. They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understanding expository text than narrative text.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vocabulary, syntax understanding, theory of mind reading,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read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ading fluency, word ordering skills, problem solv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ich could aid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중독 실태 연구
- 자기점검중재가 정신지체학생 학생의 정보검색 수행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ADHD인가? 영재인가?
- 자녀의 장애진단 시기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특성
- 고기능자폐 학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 사회과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도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일반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연구 메타 분석
- 배려증진프로그램과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학습양식과의 관계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