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A Mentoring Process Study Regarding the Changing Patter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재섭 이재욱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271~29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멘토링은 멘토교사와 멘티교사 상호간 직접 수업 관찰, 수업협의회, 세미나, 워크샵, 반성적 저널 및 피드백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으로는 멘티교사의 수업, 교수-학습과정안, 사전-사후 심층면담,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수업협의회, 교수관찰지, 세미나 자료, 멘티교사의 반성적 저널 자료 등의 내용을 수집하여 전사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 가운데 하나로 자료를 수집하는 동시에 분석을 실시하는 방법인 계속적 비교 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을 통해 이루어졌다. 전사된 자료들은 ‘NVivo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코딩 작업을 수행한 후 기술-분석-해석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중등특수교사들은 ‘혼돈의 단계’, ‘학습의 단계’, ‘반성적 사고의 단계’, ‘교수내용지식 내면화의 단계’로 거치면서 교수내용지식을 발전시켜나갔다. 위의 결과에 비추어 멘토링 프로그램은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교사 양성 대학의 교수내용지식 관련 과목 신설 및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혼합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whether teacher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to evaluate what form, develop of reflective thinking in social clas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serve the purpose. Five people, including the person that researchers are one mentor-teacher, two mentee-teachers, and two external mentor-teachers working in mental retardation special middle schools. The mentoring program consists of classroom observation between mentors and mentees, class council, seminar, workshop, and feedback of reflective thinking. The researchers collected resources that were the video lessons of the mentor-teacher, the video lessons of mentee-teachers,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contents of in-depth interviews between mentors and mente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observations, lessons council, contents of seminar, workshop, and feedback of reflective thinking. The analysis methods was information transcription of all the data. By taking advantage of the 'Nvivo 10.0' program was detail coded. This study was analyzed, interpreted, and written way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improved the self-esteem and contributed to formation the PCK through the four stages; 'chaos stage', 'learning stage', 'reflective thinking', and 'PCK internalization'. Following ideas were suggest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most important mentor training program for the mentor teacher is required. Seco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tudies offered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섭,이재욱. (2014).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특수아동교육연구, 16 (3), 271-292

MLA

이재섭,이재욱.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특수아동교육연구, 16.3(2014): 271-2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