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점검중재가 정신지체학생 학생의 정보검색 수행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n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Information Retrieval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재원 이선균 박소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293~3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 스스로 능동적이고 독립적인 학습과정을 전개해 나가며 학습능력이 향상되는 전략으로 주목 받고 있는 자기점검중재를 정신지체학생에게 적용하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S중학교 특수학급 1~2학년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학생 3명으로 웹정보검색 훈련을 통한 자기점검중재를 중다간헐기초선설계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점검중재에 의해 정보 검색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자기점검 중재에 의해 정보검색 성취도가 향상되었다. 이를 근거로 자기점검일지를 활용한 자기점검중재를 정보검색 기술 교수과정에 활용한다면 정신지체학생 학생의 정보검색 수행에 긍정적인 변화를 제공함은 물론, 정신지체학생의 자기주도적인 정보검색 성취 수준을 향상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n performance and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on the objective suggested, the author used multiple probe design, and the result obtained is stated as follows. First, when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ere given instructions on web information searching skills, in which daily journal-based self-monitoring is included, all of the subjects of experiment showed improvement in information searching skills. Second, All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fulfillment and achievement, through self-monitoring. Third, even after the arbitration,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maintained their increased level of performance and achievement. In summing up these results, self-monitoring not only brings positive change on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ut also is effective in betterment of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중독 실태 연구
- 자기점검중재가 정신지체학생 학생의 정보검색 수행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ADHD인가? 영재인가?
- 자녀의 장애진단 시기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특성
- 고기능자폐 학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 사회과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도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일반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연구 메타 분석
- 배려증진프로그램과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학습양식과의 관계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