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장역방 방명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209~22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편의군집표집한 중국 북경 소재 3개 고등학교의 학생 1,200명으로부터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 근거하여 위험군 기준 점수인 42점 이상을 받은 11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 동기는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가 가장 높은 응답율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은 메신저였으며, 스마트폰 사용에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폭넓은 인맥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과 상관이 있는 변인은 학교생활 부적응, 스트레스,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들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One thousand two-hundre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three high schoo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ent by mail. The data of 117 students whose smartphone addiction scores were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correlations, and 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motivation for using a smartphone was to communicate with close people.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of a smartphone was messengers. The most satisfactory aspect of a smartphone was to form a support network. Second, smartphone addi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life adaptation, while smartphone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Third,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had impact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tress,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longer hours of using a smart phone,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중독 실태 연구
- 자기점검중재가 정신지체학생 학생의 정보검색 수행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ADHD인가? 영재인가?
- 자녀의 장애진단 시기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특성
- 고기능자폐 학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 사회과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도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일반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연구 메타 분석
- 배려증진프로그램과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학습양식과의 관계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