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이용수  0

영문명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and Program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Nuri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현주 권요한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315~33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와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특성과 요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 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전국 특수학교 유치원과 유아특수학교의 유아특수교사 195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 및 적절성 인식이 실천 및 지원 인식 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천 및 지원 인식에서는 수업 자료 및 기기 및 비품 지원과 연수 유용성에서 보통으로 인식하며, 장학 지원에 대해서 매우 낮은 인식 정도를 나타냈다.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실행 수준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운영, 내용, 방법에서 비교적 높은 실행 수준을 보이고 있는 반면 구성방향, 목표, 평가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실행 수준을 보였다. 누리과정 프로그램의 평가는 긍정적이었으며, 상호작용, 누리과정 내용, 건강ㆍ안전, 가정ㆍ지역사회와의 연계, 교육환경, 교육과정 및 교사평가, 교직원 전문성 순으로 평가를 나타냈다. 교직원 전문성 영역에서 유아특수교사들은 연수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누리과정 활동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에서는 프로그램 평가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둘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 인식, 실행 수준, 프로그램 평가의 관계에서 누리과정 인식은 누리과정 실행 수준과 프로그램 평가에 영향을 주며, 인식이 높을수록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리과정 실행 수준은 프로그램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실행 수준이 높을수록 프로그램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features and deman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and to look for the proper servic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In particular, it aimed th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to analyze their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program evaluati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s. 195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f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schools around the nation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on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and program evaluation suggested by precedent study were corrected and complemented to use as a study tool. T-verific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appeared to be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the perception of concern and appropriateness appeared to be higher than practice and support perception in the perception level. In the practice and support perception, they recognized as average in the class materials, tools and furnishing support, and training usefulness, and they showed a very low perception level for the scholarship support. The level of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showed a positive response and showed a comparatively high level of performance in the operation, contents, and method, while it showed a low level of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domains in the composition directions, goals, and evaluation. The program evaluation of Nuri curriculum was positive, and the positive evaluations appeared in order of interaction, Nuri curriculum contents, connection between health/safety, family/community,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and teacher evaluation, and faculty professionalism. In the faculty professionalism domain,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nsistently to improve the Nuri curriculum activity which showed the lowest figure among the program evaluations. Second, the following i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Nuri curriculum, level of performance, and program evaluation. Nuri curriculum perception influenced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the higher perception was, the higher level of performance was. Nuri curriculum perception influenced the program evaluation and the higher perception was, the higher program evaluation was. Nuri curriculum level of performance influenced the program evalua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the higher program evaluation wa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주,권요한. (2014).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16 (3), 315-338

MLA

이현주,권요한.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16.3(2014): 315-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