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Language Teaching on the Spontaneous Utterance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지은 김정민 노진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165~1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중재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황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재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전략을 자유선택활동, 바깥놀이 활동, 점심시간에 시행하여 연구대상유아의 자발화를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모든 상황을 관찰함과 동시에 비디오로 녹화하였고, 직접관찰 기록법 중 사건 기록법으로 대상 유아가 발화한 것을 관찰기록지에 체크하였다. 연구결과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연구대상유아의 자발화 빈도를 증가 시키는 기능을 하였으며, 중재가 종료된 2주후 유지기에 따르면 연구대상유아의 자발화 빈도가 중재기간 평균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또한 자유선택활동과 바깥놀이 시간의 경우 유지기에 꾸준히 자발화 빈도가 증가하였고, 점심시간의 경우 처음에는 중재 후반보다 다소 낮아졌지만 이후에는 앞의 두 상황과 같은 수준의 빈도를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1명의 언어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관련 중재에 대한 논의와 우리나라의 언어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EMT) including environmental regulation strategy, responsive reciprocity strategy, and environmental language strategy to the spontaneous uttera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four-years-o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i.e., language age falls behind over two years from its chronological age and almost none spontaneous utterance) was selected, an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has been used. Spontaneous utterance was measured through freq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during free-play time, outside-play time, and lunch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was increased through the EMT. Second, the spontaneous utterance was maintained after stopping the EM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EMT used in inclusive set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pontaneous utterance of a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중독 실태 연구
- 자기점검중재가 정신지체학생 학생의 정보검색 수행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ADHD인가? 영재인가?
- 자녀의 장애진단 시기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특성
- 고기능자폐 학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 사회과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도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일반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연구 메타 분석
- 배려증진프로그램과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학습양식과의 관계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