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the Orientation and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성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249~2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국의 20개 청각장애학교 교사 309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설문지는 두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5개 구성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25개의 문항으로 작성되었다.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3개의 구성요인의 15개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한 요인분석, 배경변인별 검증을 위한 t/F 분석, 그리고 Amos 모델링 방법 등이 적용되었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에서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배경변인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 대한 인식이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데, 이는 실천의 규칙 하위요인의 영향으로 설명된다. 둘째,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ientation and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This study was proposed by survey design.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parts,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with five sub-factors of 25 questions and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with three sub-factors of 15 questions. The 309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20 hearing impairment school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factor analysis, t/F test, and Amo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however the one item in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deleted by low reliability. The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consisted with five factors,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consisted with thre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not any relationships i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ment school teachers in the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however, the teaching experience was an important background variable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especially the rule of the practical knowledge; and (b) there was high reliabi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what were the importances the orientation and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중독 실태 연구
- 자기점검중재가 정신지체학생 학생의 정보검색 수행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ADHD인가? 영재인가?
- 자녀의 장애진단 시기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특성
- 고기능자폐 학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 사회과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도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일반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연구 메타 분석
- 배려증진프로그램과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학습양식과의 관계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