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Health Impairment Understanding Program on th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ard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윤정 한경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83~1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학생에 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남 C시의 N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으로 건강장애 학생이 소속되지 않았으며 11-12세 사이의 동일연령 집단이다. 실험집단은 52명, 통제집단은 51명이었으며, 실험집단에만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주당 1회, 40분, 4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은 실험 집단 여학생의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전체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은 일반초등학생의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정서적 태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은 일반 초등학생의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인지적 태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넷째,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여학생의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행동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health impairment understanding program on the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toward the health impairments. The participants of 4 classes in the 5th grade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ealth impairment understanding program was constructed through interview with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and their mothers,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program was composed of understanding about health impairment, e-NIE activity, screen meeting with a student with health impairments, and quiz contest about health impairment. To investigate the attitude change of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hrough this program, the questionnaire on th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 about the health impairment with Likert 5 scale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health impairment understanding program, gir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on the whole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Second, the health impairment understanding program hadn't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hird, the health impairment understanding program hadn't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attitude toward the health impairments. Finally, through the health impairment understanding program, only students in th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on the behavioral attitude toward the health impairments. In conclusion, this program was effective to the change of the behavioral attitude of girl students toward the health impair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중독 실태 연구
- 자기점검중재가 정신지체학생 학생의 정보검색 수행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ADHD인가? 영재인가?
- 자녀의 장애진단 시기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특성
- 고기능자폐 학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 사회과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도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등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변화 탐색
-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일반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연구 메타 분석
- 배려증진프로그램과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건강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성향과 학습양식과의 관계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