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거절 화행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의 불손 표현 연구
이용수 40
- 영문명
- A Study on Impolite Expressions in Refusal Speech Acts from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전은주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1권 3호, 273~30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overview the concept and types of impolit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It also aims to explore patterns and characterize the impolite expressions within refusal speech acts from Korean learners. This results show that, first, out of the total of 322 refusal speech acts, there were 245(76.1%) impolite expressions, among which 155(48.1%) were attributed to negative impoliteness. Situation 4 was most commonly accompanied by impolite expressions (98.2%). Second, learners at a higher level of Korean proficiency were less likely to have impolite expressions. Impolite expressions were more likely to occur in a conversation with an unfamiliar person or with one at a higher position (n=88, 81.5%). Bald on record impoliteness occurred more often in a conversation with a person at a lower position. Bald on record impoliteness was not accompanied by any strategy to prevent from disgracing the other party, but explicitly delivered a meaning of advice or interference to the other party. In addition, positive impoliteness in the refusal act was characterized by errors in honorific expressions, absence of apology, negative assessment about the other party’s behavior, and absence or insufficient explanation about the refusal. Negative impoliteness in the refusal speech act wa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lternatives in an instructive manner, direct expression of refusal, and absent hedges.
목차
1. 서론
2. 한국어 불손 표현과 거절 화행
3. 연구 방법
4. 한국어 학습자의 불손 표현 양상과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변이 음성훈련과 저변이 음성훈련이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억양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체언+용언’형 어휘적 연어 인지 양상
- 코티칭(Co-teaching) 한국어 수업 교안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TOPIK) 작문형 쓰기 평가에 나타난 몽골인 학습자의 글쓰기 수행 양상
-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의 현황과 과제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동동사 구문 이해에 나타난 단기, 장기적 통사 점화 효과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종결어미 사용 양상에 대한 종적 연구
- 한국어 문법 교육의 표현 항목에 대한 구어성 측정 및 등급화 연구
- 거주 경험과 상호작용 정도에 따른 한국어 사회문화적 함축 이해
- 외국인 학부생의 학업 능력 신장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거절 화행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의 불손 표현 연구
- 한국어 보급 네트워크 거점 사례 분석 연구
-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기능어휘 사용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