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49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1권 3호, 249~2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KFL/KSL (Korean as a Foreign/Second Language) educational contents developed in Korea so far and discussed its future direction that meets the needs of a new era and changing expectations of learners. First, KFL/KSL contents were defined as ‘all forms of materials created based on a pedagogical framework which aims to achieve the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ffectively.’ The materials were compiled into a database consisting of 926 paper-based textbooks, 45 websites and 44 mobile applications. The analysis of data indicated that paper-based textbooks still make up the majority of KFL/KSL materials while progress is being made to develop digitized contents and materials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learners and digital environments. For future contents, efforts should be accelerated to develop customized materials catering to learners’ individual needs as well as develop materials across various platforms along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review of the instructional media. In this new era where pedagogical paradigm is being digitized, content developers and instructors should make continues efforts to accommodate and keep pace with changing technological environment.
목차
1. 서론
2.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개념과 범위
3. 한국어교육 콘텐츠 현황
4.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의 과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변이 음성훈련과 저변이 음성훈련이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억양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체언+용언’형 어휘적 연어 인지 양상
- 코티칭(Co-teaching) 한국어 수업 교안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TOPIK) 작문형 쓰기 평가에 나타난 몽골인 학습자의 글쓰기 수행 양상
-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의 현황과 과제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동동사 구문 이해에 나타난 단기, 장기적 통사 점화 효과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종결어미 사용 양상에 대한 종적 연구
- 한국어 문법 교육의 표현 항목에 대한 구어성 측정 및 등급화 연구
- 거주 경험과 상호작용 정도에 따른 한국어 사회문화적 함축 이해
- 외국인 학부생의 학업 능력 신장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거절 화행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의 불손 표현 연구
- 한국어 보급 네트워크 거점 사례 분석 연구
-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기능어휘 사용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