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근 고유가 이후의 알제리 투자환경 평가
이용수 0
- 영문명
- An Evaluation on Investment Climate of Algeria after Recent High Oil Price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오영일(Youngil Oh)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1권 제2호, 519~5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자원 보유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 유망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러시아,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관심이 이제는 아프리카 지역으로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국제 고유가에 힘입어 경제 상황의 개선이 뚜렷한 북아프리카 알제리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알제리 투자 환경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매우 빈약한 상태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알제리 현지 조사를 통해 정치, 경제/산업, 사회/문화 3가지 측면에서 최근 알제리의 투자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 지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하였다. 분석 결과, 2002년 이후 알제리는 정치, 경제, 사회 각 분야에서 안정세를 찾기 시작하는 등 많은 투자 환경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권 교체, 금융 시스템, 자원민족주의, 이슬람 전통 등 외국 투자자들이 해결해야 할 리스크들 역시 상당 부분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절대적 기준의 우호적 투자 환경을 갖추고 있지만 못하지만, 국제 고유가 지속이라는 글로벌 트랜드, 안정세로 접어든 정치,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알제리 투자 환경에 대한 평가는 결코 나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many foreign investors are interested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in particular in countries having abundant natural resources. Such interests are expanded into African countries, especially Algeria who shows apparent economic development owing to high oil price. This paper evaluates recent changes of investment climate in Algeria, focusing on 3 parts; political, economic/industrial, social/cultural parts. In analysis result, Algeria showed apparent improvement in every parts as though there also exist not less important risks such as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regime, weak financial system, resource nationalism, Islamic tradition and so forth. Of course, from the absolute view point, the investment climate of Algeria is not investor friendly stage. However, considering continuance of high oil price, the tendency of political, economic stability, the prospect for investment climate of Algeria cannot be evaluated not highly.
목차
I.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방법론
II. 부문별 투자 환경 분석
III. 알제리 투자 환경 평가 및 향후 발전 방향
IV. 종합 평가 및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의 대중국 직접투자가 산업별 수출에 미치는 영향
- 중앙아시아 민족정체성 및 민족주의 연구
- Defusing Potential Threats: An Empirical Study of Korean Automotive FDI in Europe
- 외국 보험사의 국내시장 진입에 따른 산업효과 분석
- 최근 고유가 이후의 알제리 투자환경 평가
- 정보통신분야 기술 장벽 제거를 위한 국제적 논의동향과 지역무역협정상 관련 조항 비교분석
- 소비자 인지적 과정의 기업이미지 형성 및 성공가능성에 관한 경로분석
- 북한의 경제개방에 따른 외화관리법의 일반론적 고찰
- The Effectiveness of Firm-Size, Local Government's Scale, and Efficiency on the Industrial Specialization in the US Fifty States
- 인도 신유통 산업의 발전
- 한국 인터넷 기업의 해외 확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대기업의 출자규제에 따른 소유구조 정착과정의 국제비교
- 일본에 있어서의 전향(轉向)의 정치학
-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캐나다 퀘벡민법전의 역사와 성격
- 韓·中 FTA 履行을 위한 貿易救濟條項의 比較法的 考察
- International NICs Trade and the Linder Hypothesis
- 해상보험의 협정보험가액 불가쟁성에 관한 고찰
- 호주의 무역제도 및 통상현안에 관한 연구
- 국제상사중재판정의 “취소”와 “집행거부”에 관한 연구
- 한국주재 독일·영국 다국적기업의 노사갈등전략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Implications of Legal Structure of Cooperation System for Response against International Terror
- 중국 부실채권시장에 대한 효율적 투자방안 연구
- 한국과 FTA 추진국가간의 무역구조에 관한 연구
- 우수브랜드 쌀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배서금지 기명식 선하증권의 양도에 관한 연구
- 탈냉전기 중ㆍ러 협력이 동북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
- Usability의 각 차원이 모바일서비스 이용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Does Outside Directors' Characteristics Matter for IPO Performances? : The Case of NASDAQ and NYSE firms
- 한국과 미국의 미저리 지수 비교연구
- 남북교역 증대에 따른 보험의 역할
- The Impact of Entry Timing and Mode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FDI in China
- ARDL-Bounds 검정에 의한 통화정책과 외환보유고의 상관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 남북경제협력이 상호신뢰구축에 미치는 의미
- Constructing Quality-Satisfaction-Loyalty Chain System: An Empirical Study of Insurance Industry in China
- 미국의 앵글로-개신교 문화에 나타난 저항적 프로테스탄티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