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이용수 197
- 영문명
-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Junior Colle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미숙(Choi, Mi-Sook)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663~70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초융합과 초연결의 급격한 변화 속에 세계적 수준의 창조적 직업교육을 선도하기 위한 연구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1차 설문조사에 W보건대학교 교수요원 100명을 선정하였고, 2차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에 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는 W보건대학교 교수요원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정도와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생명윤리위원회의 연구계획서 심의 승인을 받은 후 1차 설문조사로 양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어 그 결과를 토대로 교수요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양교육의 본질적 목적과 개선방향에 대한 실질적인 내면의 소리를 조사하고자 2차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을 다음 3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전공교과와 교양교과를 연계한 우수콘텐츠 개발로 교과간 통합과 융합으로 통찰력을 갖출 수 있는 기초역량 강화를 넘어 삶과 연결하는 방향으로 통합적 교양교육의 본질적 목적 실현을 위한 교양교육으로 개선되어야한다.
둘째,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창의·융합적 인재육성 관련 교양교육과정 연구개발로 실천적 지식을 포함한 생활문화 전반에 대한 넓은 안목과 지견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인간의 잠재가능성 향상과 사회적 실천과 연결된 다양한 지식을 줄 수 있는 유기적 교양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K-MOOC를 활용한 교양교육 확대실시로 다양한 교과목을 구성하여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부합한 방향으로 인류의 행복과 공익성 구현을 위한 자기계발 의식과 공동체적 의식을 확장할 수 있는 교양교육내용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W보건대학을 사례연구로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세 가지는 한 대학의 사례를 넘어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전문대학이 기본적으로 추구해야할 공통된 방향성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direction of improvement of liberal education at junior colle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earch to lead the creative vocational education of the world level, among the rapid changes of super-interfusion and super-connection.
As research targets, I selected 100 persons of faculty members of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at the first survey and selected 6 persons at the second focus group interview.
As a procedure of research, I got the deliberating approval about the study plan from the Committee of Biomedical Ethics, and carried out the quantitative research as the first survey to perform a survey concerning awareness and request extent, and satisfaction degree about the liberal education, by taking as targets the faculty members of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Subsequently, based on the result, I performed a qualitative research by carrying out the second focus group interview to investigate the substantial voice from within concerning the essential goal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that the faculty members were aware of.
In consequence, I suggest the following three items for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junior colle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it should be improved into liberal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essential goals as integrated liberal education, toward the direction to connect with life beyond strengthening a basic ability to be able to possess the insight through integration and interfusion among subjects by developing excellent contents in connection with major subjects and liberal subjects.
Second, it should be improved into the organic liberal education courses to be able to give various knowledges in connection with the improvement of potentials of human beings and social practice, toward the direction to be able to acquire broad discernments and understandings concerning the overall life culture including practical knowledges through the research development of liberal education courses in relation with creative and interfusing cultivation of professionals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 it should be improved into the contents of liberal education that helps to be able to extend the consciousness of self-development and the community spirit, for realizing human happiness and the public interest, toward the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demand of the times and society,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colleges by composing various subjects through extending practice of liberal education to utilize K-MOOC.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it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junior college through the case research of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Also, the three kinds of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junior colle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ggested at this study, are a common direction that junior colleges should pursue basically all over the world beyond a case of one college.
목차
1. 서론
2.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요 및 현황 분석
3.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 니체의 주인도덕에 기반한 인성교육 모형개발
- 창의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연구
- Implementing English Drama in a Korean University English Conversation Class-A Case Study
- 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 교양회계의 의사소통 모델 연구
- 인성 교과교육 교육효과성 분석-성균관대학교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자녀 양육관에 관한 연구
-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General English Program Based on the NCS
-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 대학 인성 교육과 도덕윤리 교육
-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글쓰기 교육
- 교양교육적 접근을 통한 대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직업교육에서의 교양교육 강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 교양영어 수업에서 영어자동번역기 사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연구
-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 온라인 클리닉 시스템을 활용한 첨삭지도의 전략
-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글쓰기 교육의 쟁점
- The Effect of Flipped Classroom on Learning Outcome and Students’Learning Preference in a Large General Education Class
-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