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이용수  177

영문명
Post-human Features in the Movie and Critical writing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임선애(Lim, seon ae) 김상운(Kim, sang woon)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191~21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양상들을 비평적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있다. 포스트휴먼 시대는 정보기술, 인지과학, 나노기술, 바이오공학의 발달로 기술이 인간의 몸속에 삽입되거나 생활에 밀착돼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해체되는 시대다. 현대의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간 신체와 정신의 확장, 디지털 네트워크화에 따른 시공간 개념의 동요 및 신체성 없는 주체의 등장, 그리고 이러한 현상과 결부된 다양한 성 정체성의 출현과 같은 탈경계적 현상과 마주하고 있다. 전통적인 ‘인간’개념의 경계를 문제 삼는 이러한 문화 현상은 인간 이해를 구성하는 기본 범주 자체의 타당성을 재검토할 것을 요구한다. 이런 문제들은 현실에서라기보다 영화 속에서 아직은 더 잘 발견할 수 있다. (스티븐 스필버그, 2001), <아이 로봇>(알렉스 프로야스, 2004), <그녀>(스파이크 존즈, 2013), <공각기동대>(루퍼스 샌더스, 2017) 등은 포스트휴먼 시대에 인간과 기계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심도 있게 보여주는 영화이다. 본고에서는 와 <아이 로봇>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 시대에 필요한 의사소통 교육 방안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포스트휴먼 영화로 비평적 글쓰기 교육을 할 경우, 글쓰기, 토의, 토론을 바탕으로 발문쓰기, 요약문과 논평문 쓰기, 영화의 주제 고찰 등 제반 활동이 수반된다. 이런 활동들을 통해서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는 도래할 사회에 대한 사유능력과 응전력 기르기, 도래할 사회를 리더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 등을 예상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ost-human aspects of the post-employment aspects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age of the human being and the breakdown of the human being because of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cognitive science, nanotechnology and biotechnology. Modern humans are faced with other cautionary phenomena,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human body, the expansion of the human body, the introduction of space-time, and the emergence of a variety of subjects, such as the emergence of physical and physical identity,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sexuality associated with this phenomenon. These cultural phenomena, which question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 human’ concepts, require rethinking the relevance of the basic categories of human understanding. These problems can still be found better in movies than in reality. ‘A.I., I. Robot, Her, Ghost in the shell’etc, it is an in-depth look at how humans and machin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post-human era.The aim is to explore the way for police officers to communicate with police officers in the post-human era for police officers and students who prepare for police officers. If we are teaching communication in a post-human movie, topics include writing, debating, writing, writing, essay writing,and reviewing themes based on essay writing. The expected educational effects expected through these activities can be expected to lead to the development of privatization, enhancement of power and the ability.

목차

1. 사피엔스의 미래와 포스트휴먼 시대
2. 포스트휴먼 영화에 관한 연구 동향
3. 포스트휴먼 영화로 비평적 글쓰기 수업하기
4. 포스트휴먼 영화의 교육적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선애(Lim, seon ae),김상운(Kim, sang woon). (2017).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교양교육연구, 11 (6), 191-215

MLA

임선애(Lim, seon ae),김상운(Kim, sang woon). "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교양교육연구, 11.6(2017): 191-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