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이용수  42

영문명
A Study on Humor Education in Speech Education as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전정미(Jeon, Jung-mi)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251~28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교양 말하기 교육을 통해 대인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유머 교육’의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말하기 교육에 활용할 유머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기 위하여 이를 지식의 측면, 인식의 측면, 태도의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지식의 측면은 유머의 개념 및 특징과 이론적 배경이 되는 부분으로, 이 내용은 인식의 측면과 태도의 측면을 학습하는 바탕이 된다. 인식의 측면에서는 지금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의 목적이나 방향에 맞게 이야기가 이어져 나갈 수 있도록 협력하고, 갈등의 상황에서 이를 조정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머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대인관계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태도의 측면에서는 조롱이나 비난의 유머를 지양하고 상대방이 누구인지, 시간과 장소는 적절한지에 대해 제대로 파악함으로써 상대방에 대한 배려의 태도와 대인지각知覺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대학생은 곧 사회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하기 때문에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는 대학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속에서 경험하게 될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과목을 운영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tilization of ‘humor education’ as a way to improv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speech education as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In order to select contents of humor education which are used for speech education, humor is distinguished into the aspect of knowledge, the aspect of recognition, and the aspect of attitude. The aspect of knowledge, a foundation of learning the aspect of recognition and the aspect of attitude, is a concept and features of humor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aspect of recognition, people cooperate to lead a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conversation and possibly enhance their cap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learning ways of using humor for resolving conflicts. In the aspect of attitude, moreover, people could gain ability of consideration and interpersonal perception by understanding who conversational partner is and whether the time or place appropriate is and avoid using mockery or humor of condemnation. Since university students will soon work in society, speech education as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in order to maintain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vance communication ability in society as well as in college.

목차

1. 연구개요
2. 대학생 핵심 역량과 유머 교육
3. 의사소통 과정의 이해
4. 대인관계 능력 향상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정미(Jeon, Jung-mi). (2017).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교양교육연구, 11 (6), 251-280

MLA

전정미(Jeon, Jung-mi).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교양교육연구, 11.6(2017): 251-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