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이용수 103
- 영문명
- Clustering the patterns of satisfaction to liberal arts courses among freshmen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준(Lee, Eun-Ju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63~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양 수업에서의 교육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유형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군집을 밝혀내고, 군집에 따라 교양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차이가 있으며, 대학 몰입에 대해서도 차이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 대학생의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이며, 2016년 설문에 참여한 D대학의 1학년 학생 894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만족도 유형은 크게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군집은 ‘만족형 학습자’로 교양 수업 전반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 두 번째 군집은 ‘비판적 학습자’로 교양 수업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지만, 수업의 체계적인 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교수자의 수업운영 방식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세 번째 군집은 ‘소극적 학습자’로 교수자의 운영 스타일에 영향을 받는다. 네 번째 군집은 ‘교수자 의존형 학습자’로 편견 없는 표현이나 교수자로부터의 피드백 등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느낄 때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다. 대학 몰입의 측면에서는 두 번째 군집과 네 번째 군집에서 학업중단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교양 수업은 신입생들이 경험하는 대부분의 교수-학습경험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교양 수업의 질적 향상은 곧 신입생들의 대학 몰입과 학업지속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istence of different subgroups by the pattern of satisfaction to educational experience in liberal arts courses,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 the courses by the subgroup. Also it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institutional commitment among the groups. The research tool was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conducted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s a result, there were four different clusters based on the patterns of satisfaction to the liberal arts course. The first group was called ‘satisfied learners’ who were overall satisfied with the most factors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courses. The second group was called ‘critical learners.’ Althoug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they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organization of the courses. Also they critically approached to the instructors’ method of course management. The third group was called ‘passive learners’ who were affected by the instructors’ styles of teaching. The fourth group was called ‘instructor-dependent learners.’ They tended to be satisfied with when they felt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s’ expression without prejudice and feedback from the instructors. In terms of institutional commitment, the second and the fourth group showed a relatively high degree of intention of college dropout. When we consider that liberal arts courses are most of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first year at college, the improv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may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freshmen’s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the intention of college retention.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 니체의 주인도덕에 기반한 인성교육 모형개발
- 창의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연구
- Implementing English Drama in a Korean University English Conversation Class-A Case Study
- 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 교양회계의 의사소통 모델 연구
- 인성 교과교육 교육효과성 분석-성균관대학교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자녀 양육관에 관한 연구
-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General English Program Based on the NCS
-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 대학 인성 교육과 도덕윤리 교육
-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글쓰기 교육
- 교양교육적 접근을 통한 대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직업교육에서의 교양교육 강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 교양영어 수업에서 영어자동번역기 사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연구
-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 온라인 클리닉 시스템을 활용한 첨삭지도의 전략
-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글쓰기 교육의 쟁점
- The Effect of Flipped Classroom on Learning Outcome and Students’Learning Preference in a Large General Education Class
-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