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General English Program Based on the NCS
이용수 2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양태선(Yang, Taesu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597~62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수자 토론, 문서 검토, 학생 인터뷰를 통해 국가 직무능력 표준에 기반을 둔 교양영어 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제안을 하기 위해 한 대학교의 교양영어 과정을 검토하고 국가 직무능력 표준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 학교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근본적 목적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임에도 불구하고, 국가 직무능력 표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시험 영어 위주로 교양영어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었다.
결과에 근거하여, 국가 직무능력 표준에 기반을 둔 교양영어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안 사항이 도출되었다. 이 학교의 교양영어 프로그램은 내용기반 교육과 상황 학습 그리고 근접 발달 지대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재편성되어야 하며, 역할극과 포트폴리오 같은 좀 더 혁신적인 평가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평가하도록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way general English was taught at A university and how closely it was related to the requiremen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NCS to suggest better ways of offering English courses tailored to meet the NCS requirem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scussion sessions with professors, documents review, and interviews with 20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lthough the main aim of the general English program was to enhanc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English was mainly taught to prepare students for a standardized test in a discrete way, which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NC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university should create a new curriculum for its general English program based on CBI with an emphasis on theories of situated learning and ZPD and implement more innovative ways of assessing students’ performance, such as portfolio assessment for writing skill and role plays and group discussions for speaking skill.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Research Methods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s and Sugges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 니체의 주인도덕에 기반한 인성교육 모형개발
- 창의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연구
- Implementing English Drama in a Korean University English Conversation Class-A Case Study
- 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 교양회계의 의사소통 모델 연구
- 인성 교과교육 교육효과성 분석-성균관대학교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자녀 양육관에 관한 연구
-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General English Program Based on the NCS
-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 대학 인성 교육과 도덕윤리 교육
-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글쓰기 교육
- 교양교육적 접근을 통한 대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직업교육에서의 교양교육 강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 교양영어 수업에서 영어자동번역기 사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연구
-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 온라인 클리닉 시스템을 활용한 첨삭지도의 전략
-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글쓰기 교육의 쟁점
- The Effect of Flipped Classroom on Learning Outcome and Students’Learning Preference in a Large General Education Class
-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