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사례 연구
이용수 36
- 영문명
- Case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of Integrated Liberal-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내관(Lee, Naekwa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219~25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국어 분야와 관련된 강좌에 있어서 발표와 토론과 같은 ‘말하기 교육’, 고전인문읽기와 같은 ‘읽기 교육’, 그리고 ‘글쓰기 교육’이 기계적으로 나누어진 것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 중심의 글쓰기 교육방법에서 탈피하여 ‘읽기-말하기-쓰기’ 단계로 확장해 나가는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더욱이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개설된 다양한 교양 강좌에서는 ‘말하기-듣기’, ‘읽기-쓰기’의 네 영역이 모두 충족될 때만이 그 효과가 제대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언급한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사례는 학생들이 글쓰기 주제에 해당하는 다양한 자료를 스스로 찾아 읽고, 그 내용을 정리한 후 조별 활동과 말하기를 통하여 배경지식을 넓힌 후, 이를 통하여 확장된 사고로 보다 완성도 높은 글쓰기로 실현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flection on ‘Speaking education’ such as presentation and discussion, ‘Reading education’ such as classical humanities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in the lectures related to the Liberal-Korean language of the university’s field.
Therefore, this paper has been removed from the general process - oriented writing education method. And this article presents a practical example of integrated Liberal-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extended to ‘Reading - Speaking - Writing’ stage. Moreover, in various cultural courses opened to strengthen communication capacity, the effect can be realized only when all four areas of ‘speaking-listening’ and ‘reading-writing’ are satisfied.
The teaching-learning examples of the integrated Liberal-Korean language education mentioned in this paper have themselves read and read various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topic of writing. The students expanded their background knowledge through group activities and speaking after organizing their contents. In addition, students have realized the extended thinking through more complete writing.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통합형 교양국어 수업의 실제
4. 수업 사례의 의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 니체의 주인도덕에 기반한 인성교육 모형개발
- 창의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연구
- Implementing English Drama in a Korean University English Conversation Class-A Case Study
- 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 교양회계의 의사소통 모델 연구
- 인성 교과교육 교육효과성 분석-성균관대학교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자녀 양육관에 관한 연구
-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General English Program Based on the NCS
-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 대학 인성 교육과 도덕윤리 교육
-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글쓰기 교육
- 교양교육적 접근을 통한 대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직업교육에서의 교양교육 강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 교양영어 수업에서 영어자동번역기 사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연구
-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 온라인 클리닉 시스템을 활용한 첨삭지도의 전략
-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글쓰기 교육의 쟁점
- The Effect of Flipped Classroom on Learning Outcome and Students’Learning Preference in a Large General Education Class
-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