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이용수 124
- 영문명
- A Study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s on Career Paths and General Education for Career Development - With a Focus on C Women’s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영(Kim, Eun-young) 이재성(Lee, Jae-seo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565~59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대학교의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의식과 취업 교육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취업관련 교과과정을 포함한 대학교육 교과과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설문조사 결과, 여대생들은 4학년에 취업 준비를 시작하며(50.4%),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고(73.6%), 전공 관련 취업(80.6%)을 원한다. 취업준비 정도는 학점, 외국어, 자격증 준비는 보통으로, 봉사활동, 해외경험, 해외인턴, 대외활동 준비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별로는, 인문계열은 학점과 외국어 준비를, 사회계열은 학점과 자격증 준비를, 예술계열은 공모전을 포함한 대외활동 준비가 두드러진다. 여대생들의 취업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면, 직장으로는 국가기관을, 직업으로는 문화/예술/디자인/방송을, 직무는 공무원을 선호하고 있다. 여대생들은 취업 교육을 위해 취업여건 조성(34.5%), 취업프로그램 개선(24.0%), 취업관련 교육과정 개선(21.3%)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여자대학들은 공통적으로 진로탐색, 직무이해, 현장실습(인턴십)을 운영하고 있으며,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탐색-직무-실전 등 단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취업에 대한 여대생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정리하면, 첫째, 조기 취업 준비, 둘째, 전공 교육과 취업 연계, 셋째, 취업 교육과정 체계화이다. 이러한 시사점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육과정 중 교과 과정을 전공 교과과정, 교양 교과과정, 취업 교과과정으로 구성하여 대학의 기존 교육과정을 해치지 않으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의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는 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athway to improv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women’s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women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s on career paths, especially those whose majors are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or Arts, as well as those universities’ current state of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women university students usually start their career preparation in their senior year(50.4%), hope to be employed after graduation(73.6%), and want to have a job related to their majors(80.6%). As part of an effort to prepare for future careers, women university students, on average, maintain a good GPA, learn a foreign language, and obtain a certificate. However, they rarely do volunteer work, experience overseas, work abroad as an intern, or participat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 breakdown of the findings by department is as follows: women university students in the Humanities maintain a good GPA and learn a foreign language, the students in the Social Sciences maintain a good GPA and obtain a certificate, and those in the Arts participat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cluding art contests and exhibitions. As for women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about future careers, they prefer government agencies as a workplace, Culture/Art/Design/Broadcasting as a vocation, and government employees as a job. Women university students reporte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career-oriented conditions for career education(34.5%), improve career guidance programs(24.0%), and amend career education curriculum(21.3%). All women’s universities provide programs for their students’ career exploration, understanding about work tasks, field placement(internship). The schools’ career support programs offer a step-by-step process of ‘exploration-work tasks-real-work experience’.
The summary of the pathway for improvement that is based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needs for future careers is as follow: having them to prepare for the early employment, making a link between majors and careers, and systemizing the career education curriculum. By developing universities’ curriculum with the majors, gener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proposed suggestions that could offer various educational options for students without deteriorating the existing education curriculum.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 니체의 주인도덕에 기반한 인성교육 모형개발
- 창의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연구
- Implementing English Drama in a Korean University English Conversation Class-A Case Study
- 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 교양회계의 의사소통 모델 연구
- 인성 교과교육 교육효과성 분석-성균관대학교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자녀 양육관에 관한 연구
-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General English Program Based on the NCS
-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 대학 인성 교육과 도덕윤리 교육
-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글쓰기 교육
- 교양교육적 접근을 통한 대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직업교육에서의 교양교육 강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 교양영어 수업에서 영어자동번역기 사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연구
-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 온라인 클리닉 시스템을 활용한 첨삭지도의 전략
-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글쓰기 교육의 쟁점
- The Effect of Flipped Classroom on Learning Outcome and Students’Learning Preference in a Large General Education Class
-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