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자녀 양육관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4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Motivation to Become a Parent and the View on childrearing of Women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주(Kim, sun jo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529~56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부모됨의 동기와 자녀 양육관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수도권 소재의 여자 대학생 230명이었으며, 21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부모됨의 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정옥분 외(2008)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녀 양육관을 알아보기 위해 김영희와 김신정(2000)의 연구를 토대로 질문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들의 결혼 가치관과 출산에 대한 의지는 낮게 나타났다. 자녀 양육 책임은 ‘부모에게 동일’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이상적 자녀수에 관한 응답은 2명, 1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산 시기는 ‘결혼 2년 후’와 ‘결혼 3년 후’의 순서로 응답하였다. 출산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경제적 안정’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자녀 양육관은 부모-자녀 간 사이가 좋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위요인인 애정적 측면, 훈육적 측면, 환경조성 측면, 교육적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됨 동기는 혈연 유대적 동기가 가장 많았고, 정서적 동기가 그 다음의 순이었으며, 전통적 동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모됨 동기에 따른 자녀 양육관에 대한 차이는 훈육적 측면을 제외하고 애정적 측면, 자율적 측면, 환경 조성적 측면, 교육적 측면 모두에서 혈연적 동기와 정서적 동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전통적 동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임신, 출산의 주체적 역할을 담당하는 여성의 부모됨과 자녀양육에 관한 가치관을 연구하였다는 점, 예비부모교육과 저출산 방지를 위한 정책 수립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of parents and child care valu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0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operational test was administered to 216 female college students. I used the measure of Jung & etc(2008) to measure motivation to become a parent, Kim & Kim(2000) to measure view on childrear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marital values and their willingness to give birth were low. The female college students thought that the parental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 was the same for their parents. The major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hoped to have two children, next, female students hoped to have one child. The childbirth period was in the order of ‘two years after marriage’ and ‘three years after marriage’. Economic sta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birth perio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child group and the poor parent-child group in the good relationshi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affection, discipline, environment, and education. The motivation for parenting was the most motivated by blood religiosity motivation. Emotional motivation was the next, and traditional motivation was the lowest. The difference in parental motivation for child caregivers is that the person with blood religiosity motivation and emotional motivation in both affectional aspect, autonomic aspect, environmental adjustment aspect, and educational aspect, except for the disciplinary aspect,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women who are in charg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to establish policies for pre-parent education and prevention of low birth rat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분석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 니체의 주인도덕에 기반한 인성교육 모형개발
- 창의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연구
- Implementing English Drama in a Korean University English Conversation Class-A Case Study
- 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 교양회계의 의사소통 모델 연구
- 인성 교과교육 교육효과성 분석-성균관대학교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자녀 양육관에 관한 연구
-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General English Program Based on the NCS
-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 대학 인성 교육과 도덕윤리 교육
-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글쓰기 교육
- 교양교육적 접근을 통한 대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직업교육에서의 교양교육 강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 교양영어 수업에서 영어자동번역기 사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연구
-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 온라인 클리닉 시스템을 활용한 첨삭지도의 전략
-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글쓰기 교육의 쟁점
- The Effect of Flipped Classroom on Learning Outcome and Students’Learning Preference in a Large General Education Class
-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