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3
- 영문명
- Effects of Tutoring on Math grade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정경미(Chung, Kyong-Mee) 윤수진(Yoon, Soo Jin) 고철기(Ko, Chul Ki) 김동호(Kim, Dongho) 김수정(Kim, Soojeo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6호, 391~41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 전형의 다양화와 외국인 학생 수의 증가에 따라 대학생들의 학업수행능력 간 개인차가 두드러지게 관찰되기 시작했고,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튜터링은 가장 대표적인 형태의 학습효율성 개선방법으로 많은 대학에서 실행하고 있으나, 튜터링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은 제한된다. 본 연구에서는 튜터링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 검증을2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에서 교과별 학생 간 수행 차이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가장 대표적인 수준별 교육과 튜터링을 결합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참가 대상자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1개 대학에서 이과대/공과대/생명시스템 1학년 학생 중 입학 시 수학과목 선별검사에서 성적이 하위 10%에 속하는 학생들이었다. 이 중 수학 입문반을 수강하면서 집중 튜터링을 받은 후 정규 수학과목 I을 수강한 학생들 39명(실험집단)과, 입문반 수강 없이 정규 수학과목 I을 수강한 학생 39명(대조집단)의 정규 수학과목 I의 성적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입문반과 집중 튜터링을 받은 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받았으며, B-이상의 성적을 받은 학생들의 비율이 집 48.7%로 대조집단(26.6%)에 비해 높았다. 연구 2에서는 집중튜터링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가 대상자는 정규 수학 과목 II의 수강생 중 이전 학기 정규 수학 과목 I에서 D+ 이하를 받은 학생들 중, 집중 튜터링을 신청한 학생 26명과 튜터링을 신청하지 않은 학생 중 선정된 31명이었다. 연구 결과 중 튜터링을 받은 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받았으나, B-이상의 성적을 받은 학생들의 비율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낮은 튜터:튜티 비율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튜터링이 제공된 집중 튜터링은 단독으로 제공되거나, 혹은 수준별 교육과 함께 제공될 때 대학에서 이과대, 공과대 및 생명시스템 대학 학생들의 수학성적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연구적 함의 및 임상적 함의가 추가되었다.
영문 초록
With the diversification of university screening system and increment i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notable variation in students’academic performance capacity is being observed; thus, universities are seeking resolutions for effective education. Tutoring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used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yet its effectiveness is less examined. Current paper conducted an investigation on its effectiveness with two studies. In Study 1, the effectiveness of a conjunctional program of tracking and tutoring, was examined. Participants were freshman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Science, the College of Engineering, and the College of Life and Biotechnology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se math screening test performance was in the lowest tier of 10%. Group difference of formal Math I course grade was examined between a group of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formal Math I course after taking a Math beginner level class and received intensive tutoring (experiment group) and a group of students who took the formal Math I course without taking the Math beginner level class (control group). Results showed that the Math beginner level group who were given the intensive tutoring received a significantly higher grade in contrast to the control group;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ceived a grade of B- or above was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by 22.1%. In Study 2, the effectiveness of intensive tutoring was examined. Participants were 26 students who volunteered for intensive tutoring and 31 students selected among those who did not volunteer for the tutoring; participant pool was students enrolled in a formal MathII course and received a grade of D+ or under in their formal MathI course of the previous semester.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given the intensive tutoring received a significantly higher grade in contrast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ceived a grade of B- or above in the two groups. Current research results demonstrated that intensive tutoring, conducted systematically under a low tutor to tutee ratio, is effective in improving Math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when provided exclusively, or offered in conjunction with the tracking system. Research implica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urther.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 니체의 주인도덕에 기반한 인성교육 모형개발
- 창의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연구
- Implementing English Drama in a Korean University English Conversation Class-A Case Study
- 영화 속 포스트휴먼 양상들과 비평적 글쓰기 교육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대학 교양 말하기 교육에서의 유머 교육 연구
- 교양회계의 의사소통 모델 연구
- 인성 교과교육 교육효과성 분석-성균관대학교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자녀 양육관에 관한 연구
-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General English Program Based on the NCS
-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 대학 인성 교육과 도덕윤리 교육
-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글쓰기 교육
- 교양교육적 접근을 통한 대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직업교육에서의 교양교육 강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 교양영어 수업에서 영어자동번역기 사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연구
-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 온라인 클리닉 시스템을 활용한 첨삭지도의 전략
-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글쓰기 교육의 쟁점
- The Effect of Flipped Classroom on Learning Outcome and Students’Learning Preference in a Large General Education Class
-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 통합형 교양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