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강 유역 고대 우물에 대한 시론적 연구

이용수  90

영문명
A Poetic Study on Ancient Wells Remains around the Han-river Basin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황보경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인문』신라사학보 33집, 1~54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한강 유역에서는 삼국~통일신라시대 우물이 적지 않게 조사되었는 데, 주로 백제와 신라 우물이 발굴되었다. 우물의 유형은 목조 우물을 비롯하여 토광 우물, 토광+석조우물, 목조+석조 우물, 석조 우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는 석조 우물이 가장 많이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목조+석조우물은 삼국 모두가 축조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백제 우물은 목조 우물뿐만 아니라 목조+석조, 석조 우물 등 다양하고, 신라 우물 중에 목조+석조 우물도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고구려 우물은 남한에서 1기만조사된 상태이지만, 북한이나 중국에서 조사된 우물을 참고해 본다면, 우물 의 축조기법이 백제와 신라에게 영향을 직 간접으로 미쳤을 개연성이 있다 그리고 경제성 면에서는 목조>목조+석조>석조 우물의 순이고, 효용성 면에서는 석조>목조+석조>목조 우물의 순이라고 정리해 볼 수 있다. 우물의 축조목적은 주거생활에서 식수를 얻기 위한 것이 많지만, 농경이나 생산시설에 사용하기 위한 것도 있으며, 제의를 위한 것도 있다. 특히 우물에서 출토되는 복숭아씨를 비롯하여 동물뼈, 수막새, 철기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고대 사회에서 제의 행위 때 다양한 유물이 매납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우물에서는 제의와 관련된 유물이 출토되어 우물을축조한 집단 구성원이 축조 당시나 물이 말랐을 때, 오염이 되었을 때, 폐기 를 할 때 등 직면한 경우에 따라 의례방법과 제물 종류를 달리했던 것으로이해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in Han-river basins it was not founded a little to wells remain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o unified Silla. Mostly there were many Baekje and Silla wells and a 1 Goguryeo well. The kinds of wells are wooden wells, mine wells, mine+stone wells, wooden+stone wells and stone wells.Among these the stone wells were build the most, the stone+wooden wells were made by three countries together. Baekje wells were not only wooden stones but also wooden+stone wells and stone wells etc. Among Silla wells,we newly knew that wooden+stone wells were built. And with the reference of wells in Bukhan or China, the techniques of building wells were similar to Baekje and Silla people. The purpose of building wells was to get drinking water and to use it for farming and manufacturing facility and ancestral rites. Especially among the remains of wells it was buried to ancestral rites such as peach pits, animal bones, antefixes and iron relic etc. But in the most wells, there were remains related with ancestral rites. This aspect meaned that according to that time when the water was dry,was contaminated, was closed etc. people built wells as different tools such as rite ways and the kinds of sacrifices they used.

목차

Ⅰ. 머리말
Ⅱ. 우물의 유형과 구조
Ⅲ. 출토유물 분석
Ⅳ. 축조시기 및 성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보경. (2015).한강 유역 고대 우물에 대한 시론적 연구. 개인저작물 - 인문, , 1-54

MLA

황보경. "한강 유역 고대 우물에 대한 시론적 연구." 개인저작물 - 인문, .(2015): 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