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의 불교와 사상교류

이용수  128

영문명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복순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인문』제24집, 173~19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8.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의 불교와 관련한 사상교류는 꾸준히 이루어진 바 있다. 다만 역사상에 나타나는 내용들만이 오늘날 우리에게 회자되고 있을 뿐이다. 고구려에서 신라로, 백제로, 또한 백제에서 신라로, 신라에서 백제로 각각 교류된 불교는 각국에 많은 영향을 주며 사회사상으로서의 기능을 하였다. 또한 중국과 인도에서 전래된 불교를 삼국은 자국에 맞는 불교로서 소화하여 각국의 불교가 갖는 성격을 만들어 내었으며, 주변국에도 영향을 준 바 있다. 본 고는 7세기 삼국간의 항쟁이 치열하였을 시기로 한정하여 삼국 간의 사상교류와 대외적인 사상교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고구려에서 신라로 또 백제로, 백제에서 신라로, 신라에서 백제로의 사상교류가 있었다. 이와 함께 삼국인들이 중국과 인도에 유학하여 교류된 측면도 많았다. 특히 7세기에는 신라인들의 해외유학이 압도적이었다. 이들의 활동은 경전의 유입, 역경, 신라승의 동선 확대와 수학의 다양화, 신라인의 세계관 확대와 신라 문물의 전파와 같은 영향을 남겼다

영문 초록

The thought communicate in the Three Kingdom in Ancient Korea related to Buddhism was constituted steadily. But we know the contents in writings by historians. The Buddhism exchange Goguryo to Silla, Baekje, and Baekje to Silla, Silla to Baekje. The Three Kingdom in Ancient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fulfilled its function as a social ideology. Also the Three Kingdom in Ancient Korea both made the Buddhism into severally national idea and was colored by the around states. This paper approach two item, first in the 7th century the thought communicate for Three Kingdom in Ancient Korea, really Goguryo to Silla, to Baekje, and Baekje to Silla, Silla to Baekje. Second in the 7th century the thought communicate for the around states, the Three Kingdom in Ancient Korea monks gone abroad to study the Buddhism, example Jin, Soo, Dang in the ancient china and five Cheonchuk in the ancient India. Moreover in the 7th century the Silla many students included monks studying abroad, they announced the Silla culture. The survey of their multifarious activities come out for the Three Kingdom thought communicate and exerting a beneficial influence on abroad. Incoming the Buddhist scriptures`s copy Text and translation of the Text of a Sutra, etc.

목차

Ⅰ. 머리말
Ⅱ. 7세기 이전 삼국 불교의 특징
Ⅲ. 7세기 삼국 간의 사상교류
Ⅳ. 7세기 삼국의 대외적인 사상교륙
Ⅴ. 맺음말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복순. (2004).삼국의 불교와 사상교류. 개인저작물 - 인문, , 173-192

MLA

김복순. "삼국의 불교와 사상교류." 개인저작물 - 인문, .(2004): 173-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