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밀레니엄 전환기의 문화이론 비판

이용수  13

영문명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봉군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인문』제10권 제1호, 13~4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1.0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aim to discuss the cutural theorie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wish to probe into sensible Christian cultural theories faced with the problems of the approaching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a new millenium. Living in the digital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e have horizontal human relations and cultural apsects instead of vertical ones. The cultural theories in this period can be called intermixtured cultural ones : theory of hyper-reality and intercommunication and vertual reality, horizontal multi-cultural theory, and the theories of deconstructed literature and cultural studies into literature, stemming from postmodernism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se cultural theories and phenomena exert positive an negative influences upon our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ere we have to do a `good fight` against negative ones holding sway of `pure simulacrum` over the truth, dehumanization, alienation, sexual immorality, violation, vulgar cultures, and the absolutization of cultural relativism, especially atheisitic cultures and their theories. For this purpose, we, the christian intellectuals should try to have a `missionary conversation` with those of secular cultures and such phenomena, cultural pluralism. religious pluralism, and moral anarchism to recover the absolute values. God`s Truth.

목차

Ⅰ. 머리글
Ⅱ. 밀레니엄 전환기의 문화이론
Ⅲ. 저환기의 문화이론 비판
Ⅳ. 맺음말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봉군. (2000).밀레니엄 전환기의 문화이론 비판. 개인저작물 - 인문, , 13-47

MLA

김봉군. "밀레니엄 전환기의 문화이론 비판." 개인저작물 - 인문, .(2000): 13-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