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의 전공 선택 및 적응 경험 분석 : 소속 학과를 결정한 A 대학 고학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Students’ Major Selection and Adaptation Experiences in the Division of Undeclared Majors: A Case Study of Upper-Year Students at University A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채민정 서희정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257~2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udents in the Division of Undeclared Majors at University A explore academic
majors and adapt to institutional, academic, and social contexts after declaring a major. The aim is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student-centered flexible major selection systems in higher education. Method: Twelve
upper-year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without a declared major and later selected one were interviewed
using a semi-structured format.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volving iterative
coding to identify recurring themes. Expert review and multiple refinements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finding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four key challenges. First, although students anticipated freedom in
exploring academic fields, they experienced confusion due to limited course availability and insufficient academic
guidance. Second, constrained access to academic information and early restrictions on major choices resulted in
inefficient course planning, often requiring completion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unrelated to students’ interests.
Third, students struggled with delayed completion of foundational coursework or enrollment in advanced courses
without proper prerequisites, largely due to limited advising and faculty support before and after major declaration.
Fourth, after entering their chosen departments, students experienced emotional disengagement and a weak sense of
belonging, describing exclusion from peer communities and academic networks. Conclusion: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academic advising systems, improving access to major-related information, and
expanding structured opportunities for exploration. Drawing on students’ lived experiences, it provides policy-relevant
insights for enhancing institutional support mechanisms within undeclared major programs.
영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유전공학부에 입학한 학생들이 전공을 탐색하고 진입한 이후 경험하는 학사제도,
학업 적응, 사회적 관계 형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공자율선택제 및 자유전공학부의 효과적
인 운영과 제도 개선을 위한 학술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A 대학 자유전공학부에 입학하여 전공을 결정한 고학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한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핵심적인 하위범주
와 상위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연구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자문 및 반복적인 수정과
보완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첫째, 학생들은 전공 탐색의 자율성을 기대했으나, 제한된 수강 기회와 정보 부족으
로 혼란을 경험했다. 둘째, 학사 정보 제공의 미흡, 1학년 시기 전공 선택의 제한성, 그리고 전공과 무관한
공통 교양과목 이수의 비효율성 등이 제기되었다. 셋째, 전공 진입 전후 체계적인 교수 상담과 학업 지도의
부재로 학습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넷째, 전공 진입 후 유대감 형성 실패로 심리적 위축과 소외감을 경
험하였으며, 정보 공유 및 공동체 활동에서 배제되어 소속감 결여를 호소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자유전공학부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과 폭넓은 전공
탐색 기회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의 실제 학업 경험을 바탕
으로 전공자율선택제의 도입 및 운영에 있어 실질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비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참여 제약 요인 및 요구도 분석
-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대학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하위요인별 영향요인 탐색
- 대학 학생성공 경험의 주요 의미와 유형 탐색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교사-유아상호작용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24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의 전공 선택 및 적응 경험 분석 : 소속 학과를 결정한 A 대학 고학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