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하위요인별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subdomai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김준엽 신혜숙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107~1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기술이 학교현장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에 영향을 주는 학생 및 가정배경, 그리고 학교특성을 탐색하었다.
연구방법: 대구교육종단연구2021의 3차년자료를 바탕으로 2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디지털활용, 디지털
조절 및 디지털윤리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특성과 가정배경, 학교의 교육활동과 학교배경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리터러시의 하위요인별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었으며, 디지털윤리의 학교별 차이가 큰 편
이었다.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과 스마트폰중독, 가정에서의 디지털교육과 사교육, 학교의 디지털교육과 수
업에서의 디지털활용, 학교규모 등이 디지털리터러시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었으며, 성별에 따라 디
지털윤리에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학생들의 디지털리터러시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관련 지원을 강화해
야 하며, 특히 디지털윤리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udent and family backgrounds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within the context of extensive digital technology use in schools.
Method: Based on the 3rd year data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21, a two-level multilevel
model was applied to explore student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and school
background that affect digital utilization competency, regulatory competency, and ethical competency.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sub-competency of digital literacy, and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schools in ethical competenc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digital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at home, digital education and classroom use of digital tools,
and school size influenced digital literacy,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digital ethics competency depending on
gender.
Conclusion: We need to provide various programs and strengthen related support to increase the digital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educational and policy attention is needed to increase
digital ethical cap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 대학 비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참여 제약 요인 및 요구도 분석
-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하위요인별 영향요인 탐색
- 대학 학생성공 경험의 주요 의미와 유형 탐색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교사-유아상호작용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24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의 전공 선택 및 적응 경험 분석 : 소속 학과를 결정한 A 대학 고학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