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ystem considering consistency and differentiation across subjects : Focused on the Ontario Curriculum document system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한혜정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57~7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역량 교육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교과 간 일관성을 유지하면 서도 교과별 특성을 존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을 다음의 세 가지 기준에 의거 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서는 모든 교과 교육과정이 빅 아이디어 중심의 설계 방식을 따르고 있는가? 둘째,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은 목차 구성 상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어떻 게 확보하고 있는가? 셋째,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서는 역량 교육을 위하여 교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선하 였는가?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서는 사회와 과학 교과만 빅 아이디어 중심의 설계 방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캐나다 온타리오 교과 교육과정은 동일한 목차를 제시하고 목 차의 각 항목의 내용은 교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필요한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교육과정의 일관성과 차 별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서는 역량 교육을 위하여 모든 교과 교 육과정에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역량을 6가지 ‘전이가능한 기능’으로 제시한 후 그것을 위한 학습 영역 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빅 아이디어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를 모든 교과에 적용하는 것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모 든 교과가 지향해야 할 공통의 방향을 제시하고(일관성 확보) 그것을 교과 교육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구현 하는 방안은 교과가 자율적으로 마련하도록(차별성 확보) 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셋째, 총론에 제시된 핵심역량 6개가 선언적인 차원에서 머무르지 않고 교과 교육과정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방 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desig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ensures consistency across subjects while resp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Method: The curriculum of Ontario, Canada was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three criteria. First, does all curricula in Ontario, Canada adopt a design method centered on big ideas? Second, how does the curriculum of Ontario, Canada secure consistency and differentiation across subjects? Third, how did the curriculum of Ontario, Canada improve for competency education? Results: First, only social studies and science curricular in Ontario, Canada follow a design method centered on big ideas. Second, the curriculum of Ontario, Canada presents a common table of contents and adds subject-specific conten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securing consistency and differentiation of the curriculum. Third, in Ontario, Canada, the curriculum was improved by introducing six ‘transferable skills’ as the competencies to be cultivated across all subject and by establishing separate learning areas for them.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re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Korean curriculum. First, in future curriculum revisions, it is necessary to re-think applying curriculum design centered on big ideas to all subje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present a common direction that all subjects should pursue (ensuring consistency) and to allow subjects to autonomously devise ways to practically implement it in their curriculum (ensuring differenti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the six core competencies to be practically reflected in the subject curriculum rather than remaining at a declarative level.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분석 결과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혜정. (2025).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5 (3), 57-76

MLA

한혜정.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5.3(2025): 57-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