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학생성공 경험의 주요 의미와 유형 탐색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Text Network Analysis of the Core Meanings and Categories of University Student Success Experienc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김동주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129~15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생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핵심어와 유형을 도출하여 학생성공의 구체적인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차원의 학생성공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을 위한 대학 교육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H대학에서 2024년 ‘도전과 공유대회’에 출품된 69편의 에세이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텍스
트 네트워크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해 주요 핵심어의 출현빈도와 상호 연결구조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CONCOR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성공 경험의 특성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핵심어는 생각(359), 수업(298), 시간(239), 활동(224), 사람(197) 등의 핵심어가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대외-활동, 외국인-친구, 문제-해결, 팀-프로젝트 등의 핵심어가 서로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CONCOR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학생성공 경험 유형은 자기성찰과 진로탐색 경험, 학업향상을 위한 수행
노력 경험, 목표설정과 문제해결을 통한 성장 경험, 수업과 다양한 활동을 연계한 실행 경험의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실제 학생성공의 언어적 표현을 토대로 학생의 학생
성공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 대학교육이 학생 개별 특성에 적합한 지원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e meanings and categories embedded i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of success, and to explor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ypologies of student success in higher
education. The ultimate goal is to deepen institutional understanding of student success and to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developing personalized educational support strategies at the university level.
Method: To this end, Sixty-nine essays submitted to the 2024 “Challenge and Sharing Contest” at H Univers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ext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structural
connections of keywords representing student success experiences. Additionally, the CONCOR (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s) method was used to classify types of experiences and to explore the thematic meanings
associated with each cluster.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thinking,” “class,” “time,” “activity,” and
“people.” Strong semantic linkages were also observed between word pairs such as “extracurricular–activity,”
“international–friend,” “problem–solving,” and “team–project.” Based on CONCOR clustering, four distinct
categories of student success experiences were identified: experiences of self-reflection and career exploration;
efforts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growth through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and execu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coursework and diverse activities.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students experience success in university and
provides practical insights for developing support strategies that address individual student nee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 대학 비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참여 제약 요인 및 요구도 분석
-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하위요인별 영향요인 탐색
- 대학 학생성공 경험의 주요 의미와 유형 탐색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교사-유아상호작용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24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의 전공 선택 및 적응 경험 분석 : 소속 학과를 결정한 A 대학 고학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