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Summary of Youth’s Long-Term Job Preparation Experiences : Focusing on the Hope-Centered Career Development Mode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현승범 이혜은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177~21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년이 장기적으로 취업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바를 질적 연구를 종합하는
질적 메타요약 방법을 적용하여 희망중심진로발달모형의 관점으로 확장적인 해석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 중 ‘취업 준비 기간이 12개월 이상인 연구참여자’를 대
상으로 한 질적 연구 15편을 선정하여 질적 메타요약 방법으로 각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청년의 장기적 취
업 준비 경험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331개의 의미 단위를 추출하고 37개 기술적 주제, 13개 종합적 주제, 6개의 핵심주제를 도출
하였다. 도출된 핵심주제는 1) 좁은 취업 문 앞, 지갑은 얇고 기대는 무겁다, 2) 취업 스트레스로 심신에 적
신호가 켜지다, 3) 취업 준비가 장기화되면서 자존감이 바닥에 떨어지다, 4) 외부의 시선이 두려워 고립이
심화되다, 5) 사람들의 응원과 도움으로 다시 일어서다, 6) 희망을 유지하며 꾸준히 노력하다로 나타났다.
그리고 높은 효과 크기로 나타난 기술적 주제는 ‘부모의 지원에 대한 무거운 채무감(53%)’, ‘가족의 기대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53%), ’우울과 무기력이 심각해짐(53%)‘, ’관계의 단절과 고립 심화(53%)’로 장기취업 준
비과정에서의 심리적/사회적 어려움에 해당하였다.
논의 및 결론: 도출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취업 준비 청년을 위한 희망중심진로발달모형에 기반한
진로상담적 개입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제안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xpanded interpretation of young adults’ long-term job preparation
experiences by applying a qualitative metasummary method to existing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in the
Hope-Centered Career Development Model(HCDM).
Methods: For this purpose, 15 qualitative studie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were selected,
focusing on participants who had been preparing for employment for 12 months or longer. Using the
qualitative sythesized method, the findings of these studies were integrated and analyzed to gain insight into
the long-term job preparation experiences of youths.
Results: A total of 331 meaning unit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into 37 descriptive themes, 13
comprehensive themes, and 6 core themes. The core themes identified were 1) Facing a narrow job market
door-light wallets, heavy expectations, 2) Physical and mental distress triggered by job-search stress, 3) Diminishing
self-esteem as job preparation becomes prolonged, 4) Deepening isolation due to fear of others' perceptions,
5) Rising again through the encouragement and support of others, 6) Maintaining hope and persevering through
steady efforts. The descriptive themes with the highest frequency effect sizes (53%) included: ‘Heavy sense of
indebtedness for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pressure from family expectations’, ‘Severe depression and
lethargy’, ‘Intensified disconnection and isolation’ These highlight the significant psychological and social challenges
faced by long-term job seekers.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s grounded in the
Hope-Centered Career Development Model tailored for young adults engaged in prolonged job preparation. It
also outlin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cknowledge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 대학 비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참여 제약 요인 및 요구도 분석
-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하위요인별 영향요인 탐색
- 대학 학생성공 경험의 주요 의미와 유형 탐색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교사-유아상호작용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24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의 전공 선택 및 적응 경험 분석 : 소속 학과를 결정한 A 대학 고학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