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Integrated Education Model at M University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나미라 김지현 박본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211~2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M대학교에서 운영된 949개의 역량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
영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M대학 맞춤형 통합교육모델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은 학부(과) 주관 417개 프로그램과 행정부서 주관 532개 프로그램으로 6대 핵심역량인 글로벌 시
민의식 및 국제 소통(G), 창의융합 및 자기주도학습(P), 나눔 및 리더십(S)을 세 영역으로 재분류하였다. 이
후 K-Means 분석을 통해 운영 특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통합교육모델 개발을 위해 문헌 연구를 통
한 선행연구 및 사례 검토, 전문가 설문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M대학교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은 핵심
역량 영역별 프로그램 편성에 편차가 있고, 프로그램 기획부터 평가까지의 관리체계가 일원화되어 있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운영 실태 분석에 따라, 단계별 역량 개발을 지원하고 프로그램 기획, 운영, 평
가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M대학교 맞춤형 통합교육모델을 제안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M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맞춤형 통합교육모델을 제안함으로써 핵심역량의 편중과 관리체계
미흡이라는 구조적 한계를 규명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핵심역량 균형, 교과 및 비교과 연계, 데이터 기반
환류 체계를 반영하여 특수목적대학군의 교육 환경에 적합한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다만 단일 대학 사례
에 국한되었다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유사 대학군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와 장기적 성과 검증이 필요하
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특수목적대학군 비교과 교육과정의 체계화와 질적 고도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949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at M University
(2021-2024) and proposes a customized integrated education model. Method: Data from 417 department-led and
532 office-led programs were examined. Six competencies were reclassified into three domains (G, P, S). K-means
cluster analysis,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were employed to identify patterns and design the
model.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program imbalance across domains and absence of a unifi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is, an integrated model was developed to support staged competency growth and connect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Conclusion: This model addresses structural issues such as imbalance
and weak management by ensuring balanced competency development, strengthening curricular-extracurricular
linkages, and enabling data-driven feedback. While based on a single case,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and quality enhancement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in special-purpose univers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 대학 비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참여 제약 요인 및 요구도 분석
-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하위요인별 영향요인 탐색
- 대학 학생성공 경험의 주요 의미와 유형 탐색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교사-유아상호작용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24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의 전공 선택 및 적응 경험 분석 : 소속 학과를 결정한 A 대학 고학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