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교사-유아상호작용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24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Teacher-Child Interaction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Korean Academic Journals (2004-2024)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최윤경 채진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153~1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교사-유아상호작용과 관련된 학술연구의 동
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등재된 자료를
대상으로 키워드를 수집하고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총 771편의 논문 중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쳐 최종 376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EXTOM 5.0을 활용하여 워드클라우
드, 연결중심성, CONCOR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UCINET 6.0을 통해 네트워크 시각화를 수행하였다.
키워드 간의 연결을 해석하기 위해 팀 잉골드의 선, 얽힘, 결절점 개념을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키워드는 ‘교사-유아상호작용’이었으며 다음으로 ‘유아’, ‘교사’, ‘상호작용’, ‘교사효능
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50개 키워드의 중심성 분석 결과는 출현빈도와 유사한 순위를 보였다.
CONCOR 분석 결과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교사효능감’ ‘정서노동과 놀이지원역량’ ‘유아교육기관과 교
수창의성’ ‘전문성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총 4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결과는 교사-유
아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자들이 그려온 개념적 흐름이 반복적으로 교차하고 매듭지어지는 의미의 얽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서적 요인, 교수역량 등 다양한 실천 맥락과 관계적 구성요소들이 중첩된 구조로 전개
되어 왔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철학적 해석을 접목한 통합적 해석의 새로운 가
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rends in domestic academic research on teacher–child interaction from
2004 to 2020 as index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in order to
identify research patterns related to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 A total of 771 journal articles were initially
collect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fter data
cleaning, 376 artic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EXTOM 5.0 was used to extract keyword frequencies and
calculate degree centrality and CONCOR clustering. UCINET 6.0 was employed for network visualization. To
interpret the connections among keywords, Ingold’s concepts of line, meshwork, and knot were applied. Result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keyword was ‘teacher-child interaction’, followed by ‘child’, ‘teacher’, ‘interaction’,
and ‘teacher efficacy’. The degree centrality results reflected the frequency rankings. The CONCOR analysis
revealed four clusters: (1)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 efficacy, (2) emotional labor and play support
capacity, (3)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faculty creativity, and (4)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research on teacher–child interaction constitutes an entangled
structure of emotional, instructional, and relational context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combin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 대학 비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참여 제약 요인 및 요구도 분석
-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하위요인별 영향요인 탐색
- 대학 학생성공 경험의 주요 의미와 유형 탐색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교사-유아상호작용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24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의 전공 선택 및 적응 경험 분석 : 소속 학과를 결정한 A 대학 고학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