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이용수 0
- 영문명
- Difference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gruence Between the Self-Compassion and Other-Compass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배미영 조준오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233~2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상호작용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P시와 G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40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자기자비와 타인자비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상호작용의 차이는 일원
분산분석과 Scheffé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높은 일치 집단은
교사-유아 관계 수준이 다른 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요인별 분석 결
과에서,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낮은 일치 집단과 불일치 집단이 높은 일치 집단보다 갈등 수준이 유의미
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도 높은 일치 집단이 다른 두 집단보다 유의미하
게 높았다. 넷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에서는 높은 일치 집단이 낮은 일치 집단보다 정서적 상호
작용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다음으로 언어적·행동적 상호작용에서도 불일치 및 낮은 일치 집단보다 유의
미하게 높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이 교사-유아관
계 및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gruence between self-compassion and compassion for other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and G City who completed a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8.0. Difference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lf-compassion and compassion for other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 hoc
tests. Results: First, the group with high congruence between self-compassion and compassion for ot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an the other two groups. Second, the analysis of the
subdomain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revealed that the low-congruence group and the incongru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onflict compared to the high-congruence group. Third, the high
congruence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Fourth, regarding the subdomain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high congruenc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interaction than the low congruence group, and also significantly higher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than both the incongruent and low congruence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congruenc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compassion and compassion for oth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 대학 비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참여 제약 요인 및 요구도 분석
-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캐나다 온타리오 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하위요인별 영향요인 탐색
- 대학 학생성공 경험의 주요 의미와 유형 탐색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교사-유아상호작용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24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의 전공 선택 및 적응 경험 분석 : 소속 학과를 결정한 A 대학 고학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