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ation Needs for Empathic-Based Instruction: Insight from Borich Needs Assessment and Locus for Focus Analysi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이혜란 최선영 이유나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실행 수준, 실행상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감 중심 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경상남도 내 영유아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공감수업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이원적으로 측정하고, Borich 요구도 분석과 Locus for Focus(LF) 모델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요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또한 교사 경력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다중응답형 및 개방형 문항을 포함한 정량・정성 혼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모든 문항에서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는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특히 ‘정서적 지원체계 구축’, ‘시간적・행정적 여유 확보’, ‘사례 중심 연수 및 실천 자료 제공’에 대한 요구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저경력 교사일수록 공감수업 실행을 위한 정서적・조직적 기반 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실행의 어려움으로는 정서적 피로, 협력 부족, 실천 자료의 부재 등이 주요하게 언급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공감수업이 단순한 교수 기술 차원을 넘어 교사의 정서노동 및 실행 여건과 밀접히 연계된 실천 활동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책적 차원에서는 교사 상담・회복 프로그램과 같은 정서지원 체계 정례화, 보고 간소화 및 보조 인력 배치와 같은 행정・시간 지원 제도화, 초임교사 대상 실습형 멘토링 연수와 고경력 교사 대상 사례 공유・전문성 심화 과정 등 경력 맞춤형 연수 제공, 교사학습공동체와 온라인 협력 플랫폼 구축을 통한 협력 문화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현장 차원에서는 실행 자료와 도구지원, 교사 자율적 협력 모임, 정서 지원 활동 활성화가 강조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implementation levels, and support needs regarding empathy-based instruction, with the aim of informing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Method: A total of 24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sangnam-do participated in a dual-response survey that assesssing both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actual performance of empathy-focused teaching practices. Data were analyzed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LF) model to identify priority areas for support. Additionally, quantitative analyses compared responses by teaching experienc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multiple-response and open-ended items. Results: Findings indicated consistently high importance ratings but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levels across all items. The highest priority needs were identified as emotional support systems, administrative flexibility, and practice-oriented resources. Less experienced teachers expressed greater needs for both emot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 Open-ended responses further highlighted emotional fatigue, lack of collaboration, and limited access to concrete teaching tools as major barriers to effective empathy-based instru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empathy-based instruction is not merely a pedagogical technique but a practice deeply intertwined with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working conditions. Policy-level implications include: (a) institutionalizing emotional support programs such as counseling and recovery initiatives, (b) reducing administrative workload and ensuring preparation time through supportive systems, (c) offering differentiated professional development such as practice-based mentoring for novice teachers and case-sharing workshops for experienced teachers, and (d) promoting collaborative cultures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online platforms. At the practical level, stable provision of teaching resources, teacher-led collaboration, and activation of emotional support activities ar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란,최선영,이유나. (2025).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교육혁신연구, 35 (3), 1-31

MLA

이혜란,최선영,이유나.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교육혁신연구, 35.3(2025):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