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The Use of ChatGPT in University Courses :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Conducted in Korea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정효경 박하영 정다현 김준원 정수정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3호, 77~10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how Korean university instructors have intentionally integrated
ChatGPT into their teaching practices, with the aim of deepening understanding of ChatGPT-enabled instruction
and providing strategic insights for its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pproach, we examined 19 Korean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November 2022 and April 2025, each describing cases where ChatGPT was incorporated into course
design or delivery. The analysis was organized around five dimensions: instructional activities, learning objectives,
instructor roles, pedagogical functions of ChatGPT, and perceived benefits and limitation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ChatGPT was primarily employed for text-based tasks such as writing,
translation, and problem-solving, often supporting higher-order goals like application and creation. Instructors
played key roles as designers and facilitators, while ChatGPT served as an educational assistant or content
provider, aiding idea generation and draft development. Although its use promoted student engagement and
formative feedback, challenges such as response inaccuracies and dependence on prompt quality were also
identified.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edagogical potential of ChatGPT in fostering a shift from
teacher-centered instruction to learner-driven inquiry. Realizing this potential requires for instructors to adopt
more facilitative roles that guide, rather than dictate the learning process.
영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가 ChatGPT를 교수-학습 활동에 의도적으로 통합한 사례를
중심으로, 그 활용 양상과 교육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2022년 11월부터 2025년 4월까지 발표된 국내 논
문 중 ChatGPT가 수업 설계 또는 운영에 통합된 사례 19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수업 활동 유형, 학
습 목표, ChatGPT의 교육적 기능, 교수자의 역할, 효과 및 문제점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ChatGPT는 주로 작문, 번역, 문제 풀이 등 텍스트 기반 활동에 활용되었으며, ‘적용하기’, ‘창조하
기’ 등 고차적 사고를 요구하는 수업 목표와 연계되는 경향을 보였다. ChatGPT는 ‘교육 보조자’, ‘콘텐츠 제
공자’의 기능을 통해 아이디어 생성, 초안 지원 등을 수행하였으며, 교수자는 ‘설계자’ 및 ‘촉진자’ 역할을
중심으로 도구 활용을 조율했다. ChatGPT의 활용으로 학습 몰입 향상과 형성적 피드백 제공 등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 반면, 응답의 정확성 부족, 프롬프트 역량 의존 등 일부 한계도 드러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ChatGPT가 통합된 대학 수업의 실제 맥락과 교육적 활용 양상을 조망하고, 교수
자의 역할 재정립 및 설계 전략을 중심으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ChatGPT는 교수자 중심 수업을 학
습자 주도적 탐구로 전환시키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교수자의 교육적 판단과 수업 설계
능력에 크게 의존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프롬프트 설계 역량 강화와 학습 목표에 기반한 전략적 통합
이 필수적이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교육적 기반 마련에 기여한다.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비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참여 제약 요인 및 요구도 분석
- 교과 간 일관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안 가능성 탐색
- 대학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하위요인별 영향요인 탐색
- 대학 학생성공 경험의 주요 의미와 유형 탐색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교사-유아상호작용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24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일치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자유전공학부 입학생의 전공 선택 및 적응 경험 분석 : 소속 학과를 결정한 A 대학 고학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