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AI에듀테크 교과목 수업에서 생성형 AI 적용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Implementing Generative AI in an AI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in Higher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저자명
김인숙(Insook Kim)
간행물 정보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9권 제3호, 47~6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AI에듀테크 전공 교과목 수업에서 생성형 AI 적용의 효과를 분석하여 고등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의 AI에듀테크 마이크로전공 교과목 수강 후 AI 관련 관심 분야, 전공 및 진로에 AI 접목 방안, 생성형 AI 관련 생각과 태도 변화, 생성형 AI 윤리 이슈에 대한 인식에 대해 서술형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을 하였고, 양적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질적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사전조사에서 다수 학생이 AI 사전학습 경험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ChatGPT 등 생성형 AI를 학습에 자주 활용하며, 수업 후에는 개인적 AI 윤리 기준을 갖추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사전, 사후 효과 분석 결과, 생성형 AI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역량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집단별로는 사전학습 경험이 있는 집단과 상위 학년에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생성형 AI를 학습에 활용할 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필요로 하며, AI 활용 허용 범위와 과제 내 적정 활용 비율을 제시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은 AI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전공 및 진로 연계성을 인식하고, 수업 이후 윤리의식, 비판적 사고, 효율적 활용 역량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편향성, 책임성, 저작권 등 윤리적 쟁점을 주요 이슈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맥락에서 생성형 AI 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지식, 태도, 역량향상의 효과를 검증하여 AI 활용 교육의 효과적 설계와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Generative AI application in AI Edutech major classes at universitie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A preliminary survey on usage patterns, a pre-post analysis of knowledge, attitudes, and competencies, and a survey of opinions on learning guidelines were condu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qualitative data were repeatedly compared. The results showed. First, despite the fact that many students had no prior learning experience in AI in the preliminary survey, Generative AI such as ChatGPT are frequently used for learning, and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AI ethics standard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lass. Second, as a result of the Pre-Post analysis, knowledge, attitudes, and competencies of Generative AI improved overall,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the upper grade by group. Third, students responded that clear guidelines were needed when using Generative AI learning. Fourth, students recognized the educational availability of AI and the connection between majors and careers, and their ethical consciousness, critical thinking, and efficient utilization capabilities improved after clas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Generative AI-based classes can enhance learners’ competencies and ethical reflections, providing a basi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and AI education policy in hig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숙(Insook Kim). (2025).대학 AI에듀테크 교과목 수업에서 생성형 AI 적용 효과. 교육컨설팅코칭연구, 9 (3), 47-69

MLA

김인숙(Insook Kim). "대학 AI에듀테크 교과목 수업에서 생성형 AI 적용 효과." 교육컨설팅코칭연구, 9.3(2025): 47-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