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 저자명
- 경수창(Soo-Chang Kyo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9권 제3호, 5~45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구성원의 메타인지의 매개효과와 성장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통해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300인 이상 규모의 국내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60부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칭리더십은 직무성과에 직접적이고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조직 문화, 구성원의 준비성, 리더의 실행 진정성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메타인지는 코칭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성장마인드셋은 메타인지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조건부 간접효과 또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 메타인지, 성장마인드셋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코칭리더십 분야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고, 동시에 조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리더십의 효과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인지적·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현 연구의 한계를 인식하면서도 후속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실천적 기여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oaching 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by considering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metacogni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growth mindset.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employees of domestic firm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nd a total of 360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 coaching leadership exerte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suggesting that its effectiveness may vary depending on organizational culture, employee readiness, and the authenticity of leaders’ implementation. Second, employees’ metacognition played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Third, growth mindse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job performance, and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also confirm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advancement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by empirically validat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coaching leadership, metacognition, and growth mindset.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practical insights applicable to organizational contexts. In particular,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gnitive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explaining leadership effectiveness. Furthermore, by acknowledging its limitations, this study offer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