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속집 단청연대 고증

이용수  0

영문명
A Chronological Study of the Dancheong on the inner wooden structure of Jeokmyeolbogung at Jungdae, Odaesan, Pyeongchang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전혜영 이수예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83집, 187~22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속집에 남아있는 단청 문양의 양식과 채색기법을 분석하여 그 연대를 고증하고자 하였다. 적멸보궁 속집은 15세기 조선 전기 다포식 목조건축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속집 외출목에 잔존하는 단청은 후대에 겉집이 형성되며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되어 문양 유추가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단청은 녹화여의두문과 능화형 둘레방석 두 가지 문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양의 형태 및 구성, 채색기법, 배색원리 등에서 조선 전기 단청의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특히 몰골법의 사용, 기둥 상부의 녹색 도채, 공안의 적색 강조 등은 조선 전기의 전형적 단청기법으로 확인된다. 또한 적멸보궁 속집의 건립 시기는 외기도리에서 새롭게 확인된 묵서기록과 건축사적인 특징을 통해서 1468년(성화 4년)으로 추정되며, 이는 상원사와 중대 사자암 등 오대산 일원의 주요 사찰들이 왕실 후원 하에 중창되던 시기와도 시기적으로 부합한다. 이러한 역사적 정황은 속집 단청의 제작 시기를 15세기로 편년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적멸보궁 속집 단청은 고려시대 유행하던 문양이 조선 초기 단청에 반영된 과도기적 사례로서, 단청사적 가치와 학술적 의의가 크다. 본 연구는 조선 전기 단청 양식의 형성과 변천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hronological attribution of the decorative painting (dancheong) patterns preserved in the inner wooden structure (Sokjip) of the Jeokmyeolbogung at Jungdae, Mt. Odaesan in Pyeongchang. The Sokjip retains the multi-bracket wooden architectural style typical of the early Joseon dynasty (15th century). The traces of dancheong remaining on the outer beams (oechulmok) of the Sokjip have been relatively well preserved due to the later construction of an outer structure (Geotjip), which protected them from external exposure, allowing the motifs to remain identifiable. The dancheong consists of two primary types of motifs: nokhwa-yeouidumun (green ruyi-head motif) and dulre-bangseok (framed medallion pattern) with a Linghua (rhombic floral) type design. The form, composition, coloring techniques, and color scheme of these motifs clearly reflect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early Joseon-period dancheong.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boneless technique (mollgolbeop), the green coloring applied to the upper structural elements, and the red highlighting of gong-an carvings are all typical features of early Joseon dancheong. Furthermore, newly discovered ink inscriptions (mukseo) on the outer rafter beam (oegidori), together with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the Sokjip was built in 1468 (4th year of Seonghwa). This corresponds with the period when other major temples in the Mt. Odaesan area, such as Sangwonsa and Sajaram, were reconstructed under royal patronage. These historical circumstances provide important evidence for dating the dancheong of the Sokjip to the 15th century. The Sokjip dancheong represents a transitional case, in which motifs popular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incorporated into the early Joseon decorative painting tradition. As such, it holds significant value in the history of Korean dancheong, both in terms of artistic style and academic significance. This study therefore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early Joseon dancheong styles.

목차

Ⅰ. 머리말
Ⅱ. 적멸보궁 속집의 연혁
Ⅲ. 적멸보궁 속집 단청의 특징 및 고증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혜영 ,이수예 . (2025).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속집 단청연대 고증. 동국사학, (), 187-223

MLA

전혜영 ,이수예 .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속집 단청연대 고증." 동국사학, (2025): 187-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