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제된 신체, 강제된 침묵: 1970년대 미국에서의 원주민 여성 강제 단종
이용수 0
- 영문명
- Controlling Bodies, Forced Silence: The Sterilization of Native American Women in the 1970s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오영인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3집, 517~55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70년대 미국에서 수천 명의 원주민 여성이 본인의 동의 없이, 혹은 불완전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종 수술(sterilization)을 받았다는 것이 폭로되었다. 이는 단지 당시 보건 행정의 실패나 의료 윤리 위반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이 사건은 미국 정착 식민주의 역사, 인종주의적 우생학, 젠더 권력, 그리고 빈곤 통제 담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한 구조적이고 제도적인 폭력의 사례였다. 특히 피해자 대부분이 가난한 원주민 여성이었다는 점에서, 이 사건은 단지 여성 혹은 원주민이라는 단일 정체성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교차적 억압(intersectional oppression)의 전형을 보여준다.
미국은 20세기 초부터 우생학적 논리를 바탕으로 수많은 강제 단종 정책을 시행해 왔고, 이는 1970년대에도 형태를 바꾸어 지속되었다. 하지만 백인 중산층 여성에게는 재생산의 자유와 낙태의 권리가 논의되던 반면, 원주민 여성에게는 출산할 권리조차 부정되었다. 이처럼 재생산권은 누구에게는 권리로, 누구에게는 통제의 수단으로 작동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불균형적인 재생산 정치의 현실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미국 우생학과 인디언 보건정책의 역사적 배경을 검토하고, 이후 1970년대 연방 인디언보건국(IHS: Indian Health Service)과 강제단종 수술의 제도적 조건, 피해 여성들의 증언, 그리고 원주민 여성들의 사회적 저항운동과 법적 대응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이 사건이 단지 과거에 일어난 하나의 오류가 아니라,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식민주의적 재생산 통제의 구조임을 강조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1970s, it was revealed that thousands of Native Americ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had been sterilized without their consent or on the basis of incomplete information. This was not merely a failure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or a violation of medical ethics. Rather, it was a case of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violence occurring at the intersection of the history of U.S. settler colonialism, racialized eugenics, gendered power relations, and discourses of poverty control. In particular, the fact that most of the victims were poor Native American women illustrates a typical case of intersectional oppression—an oppression that cannot be explained solely by their identity as women or as Indigenous people.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United States has implemented numerous forced sterilization policies grounded in eugenic logic, and these policies continued in transformed forms into the 1970s. While reproductive freedom and abortion rights were being increasingly discussed for white middle-class women, Native American women were denied even the right to bear children. In this way, reproductive rights have functioned as rights for some and as instruments of control for others.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is reality of unequal reproductive politics.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merican eugenics and Indian health policies, then explores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of forced sterilization by the Indian Health Service (IHS) in the 1970s, the testimonies of affected women, and the social resistance movements and legal responses led by Native women. Through this analysis, it emphasizes that this incident was not merely a past mistake but part of an ongoing structure of colonial reproductive control that persists to this day.
목차
Ⅰ. 서론
Ⅱ. 미국 원주민 인구 통제의 역사: 우생학의 인종주의 레토릭과 재생산 정치
Ⅲ. 침묵 된 목소리의 회복과 저항적 대응
Ⅳ. 결론: 젠더, 인종, 식민주의의 교차적 정의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전쟁 전후 불교계 인명 피해의 기록: 대한불교조계종 소장《사찰전화피해상황조사보고(寺刹戰禍被害狀況調査報告)》 소개
- 오대산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의 <隨求卽得成佛圖>와 중수 기록 분석
-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의 건립연대와 건축 특성 검토
- 『慵齋叢話』를 통해 본 成俔의 가계와 교유
- 16세기 訴冤制度의 운영과 격쟁의 변화
- 홍시로 바라본 숭덕 연간 조·청 외교
- 당 후기 성덕번진 초기의 내정 –《李寶臣紀功載政頌》의 ‘載政’ 譯註를 중심으로–
- 1930-40년대 로스앤젤레스에서 유대계 미국인 주도 반파시즘 저항
- 동부유라시아론과 관련된 논저 4종 소개
- 『東征記』 저자 徐希震 小考
- 한국전쟁기 불교계 희생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 19세기 후반 오대산 獅子庵 香閣의 불화 연구
- 淸末 奉天 경찰의 風俗 관리
- 남북전쟁 이전 미국 기업법의 발전
- 통제된 신체, 강제된 침묵: 1970년대 미국에서의 원주민 여성 강제 단종
-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속집 단청연대 고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Innovation in Legal Practice in the Digital Age - Taking Model-Based Legal Reasoning as an Example
- Interpretation, Integrity, and the Right Answer: An Analysis of the Core Propositions in Dworkin's Legal Theory
- Research on Legal Governance of Fal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