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慵齋叢話』를 통해 본 成俔의 가계와 교유
이용수 0
- 영문명
- Seong Hyeon’s Family Lineage and Social Network as Reflected in Yongjae Chonghwa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신병주 방성원 배병권 표시목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3집, 225~26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성현은 자신의 경험과 주변 인물로부터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정리하여 『慵齋叢話』를 저술했다. 성현이 『용재총화』에 여러 가지 이야기를 수록할 수 있었던 것은 가문적 배경이 크게 작용하였다. 친가인 창녕성씨는 조선 전기에 광주이씨 다음으로 번성한 문벌이었다. 특히 성현은 그의 형제인 성임·성간의 문장가 및 관료적 면모를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외가인 순흥안씨에 대해서는 안향을 중심으로 그 가문의 인품과 부유함을 강조했다. 처가인 한산이씨에 대해서는 이색을 중심으로 그의 시문을 높이 평가했다. 이러한 가문적 배경은 그 이전 시기 인물의 이야기를 접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이는 성현이 관직에 진출하고 나서도 그가 당대를 대표하는 여러 인물과 교유함에 도움을 주었다.
『용재총화』에 자주 언급된 인물로는 성현과 그의 형제가 대표적이다. 그 다음으로는 국왕인 세종·세조·성종이 있으며, 그 시대를 이끌어 간 관료와 문장가들이있다. 성임과 성간은 성현의 스승으로서 그의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미쳤다. 세종·세조·성종대의 특징으로는 집현전에서 홍문관으로 이어지는 학문및 인재 양성이 주목된다. 이는 조선 전기를 이끌어 갔던 관료와 문장가와도 연관된다. 특히 성임과 성간은 집현전 출신이었고, 이들로부터 이어진 교유 관계는 성현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성현은 신숙주, 서거정, 강희맹, 이승소 등 당대 문사들과 교유했다. 이외에도 『용재총화』에는 최호와 채수에 대한일화가 다량 등장하는데, 이는 성현이 평소 인물의 문장가적 면면을 높이 샀음을 짐작하게 한다.
『용재총화』에 수록된 이야기들은 대부분 성현의 교유 관계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용재총화』가 단순히 야사집이 아니라, 조선 전기 사대부의 교유 관계와 이들의 일상, 학문관, 가치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임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Seong Hyeon(成俔) compiled Yongjae Chonghwa(慵齋叢話) by collecting stories based on his personal experiences and accounts heard from those around him. His ability to include a wide range of narratives in this work was deeply rooted in his familial background. His paternal lineage, the Changnyeong Seong clan(昌寧成氏),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aristocratic families in early Joseon, second only to the Gwangju Yi clan(廣州李氏). Seong-Hyeon particularly valued the literary and bureaucratic accomplishments of his brothers, Seong Im(成任) and Seong Gan(成侃). Regarding his maternal family, the Sunheung An clan(順興安氏), he highlighted their noble character and wealth, especially through the figure of An-Hyang(安珦). He also appreciated the literary talent of Yi Saek(李穡), a central figure of his wife’s family, the Hansan Yi clan(韓山李氏). This family background influenced his awareness of earlier historical figures and also helped foster his relationships with notable contemporaries after entering government servic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figures in Yongjae Chonghwa are Seong-Hyeon and his brothers, followed by King Sejong, King Sejo, and King Seongjong, along with the scholar-officials and literati who shaped their respective eras. As Seong Im and Seong Gan were also his mentors, they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formation of his intellectual and social network. A defining feature of the reigns of Kings Sejong, Sejo, and Seongjong was the cultivation of scholarship and talent through institutions such as Jiphyeonjeon(集賢殿) and Hongmungwan(弘文館). This focus on academic advancement was closely tied to the activities of leading scholar-officials and literati of early Joseon. Notably, Seong Im and Seong Gan, both of whom came from the Jiphyeonjeon, played a pivotal role in shaping Seong Hyeon’s social network and had a lasting influence on his academic and social connections. Through these ties, he was able to form connections with leading literary figures such as Shin Suk-ju(申叔舟), Seo Geo-jeong(徐居正), Kang Hee-maeng(姜希孟), and Yi Seung-so(李承召). He also included numerous accounts about Choi Ho(崔灝), who was not politically prominent but regarded as a noted man of letters. Seong-Hyeon also wrote a preface to a paegwan fiction(稗官小說) work by Chae Soo(蔡壽), a prominent official with whom he served, thereby demonstrating his positive view of paegwan literature(稗官文學). These examples show that Seong Hyeon highly valued their literary talents.
The narratives found in Yongjae Chonghwa stem from his direct relationships and social interactions. Thus, the text is not merely a collection of unofficial tales but serves as an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interpersonal networks, daily lives, intellectual interests, and values of the literati in early Joseon.
목차
Ⅰ. 머리말
Ⅱ. 『용재총화』에 나타난 성현의 가계
Ⅲ. 성임·성간·성현 형제의 교유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전쟁 전후 불교계 인명 피해의 기록: 대한불교조계종 소장《사찰전화피해상황조사보고(寺刹戰禍被害狀況調査報告)》 소개
- 오대산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의 <隨求卽得成佛圖>와 중수 기록 분석
-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의 건립연대와 건축 특성 검토
- 『慵齋叢話』를 통해 본 成俔의 가계와 교유
- 16세기 訴冤制度의 운영과 격쟁의 변화
- 홍시로 바라본 숭덕 연간 조·청 외교
- 당 후기 성덕번진 초기의 내정 –《李寶臣紀功載政頌》의 ‘載政’ 譯註를 중심으로–
- 1930-40년대 로스앤젤레스에서 유대계 미국인 주도 반파시즘 저항
- 동부유라시아론과 관련된 논저 4종 소개
- 『東征記』 저자 徐希震 小考
- 한국전쟁기 불교계 희생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 19세기 후반 오대산 獅子庵 香閣의 불화 연구
- 淸末 奉天 경찰의 風俗 관리
- 남북전쟁 이전 미국 기업법의 발전
- 통제된 신체, 강제된 침묵: 1970년대 미국에서의 원주민 여성 강제 단종
-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속집 단청연대 고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Sage Transmits His Mandate”: A Study on the Concept of “Mandate” in Wang Anshi's Yijing Thought
- An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College Students' “In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iddens' Modernity Theory
- Research on Digital Construction and Sharing Mechanism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sources under the Empowerment of Digital Intelligen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