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의 건립연대와 건축 특성 검토
이용수 18
- 영문명
- Exami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Jeokmyeolbogung Hall at Odaesan Jungdae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도윤수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3집, 149~18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은 지궁(地宮)이라 불리는 진신사리 보장처 앞의 배전(拜殿)으로, 국내 5대 적멸보궁 중 하나라는 상징성을 통해 그 가치가 일찍부터 주목되어 왔다. 2000년대 이후 건축물 자체에 대한 학술조사가 진행되면서, 고려 말에서 조선 전기 양식을 충실히 보여줄 뿐 아니라, 속집과 겉집으로 구성된 이중 평면 구조를 가진 국내 유일의 불전으로서 새롭게 조명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건립 연대, 평면 특성, 공포 양식을 검토하여 적멸보궁의 건축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첫째, 새롭게 발견된 상량묵서를 통해 속집의 건축 연대는 1401년 초창, 1468 년 중창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적멸보궁이 한국 건축사 연구에서 시대 편년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적멸보궁은 국내 불전에서는 유례 없는 속집·겉집의 이중 평면 구조를지니며, 이는 강원도를 비롯한 내륙 산간 지역의 독특한 살림집 유형인 겹집 평면개념을 차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오대산 중대라는 지리적 여건에서추위를 견디려는 방안이었으며, 조선 중기 이후 사리신앙의 표출로 배전이 적멸보궁으로 격상되어 불리면서 건축물 자체를 보존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15세기 공포 부재와 조각 수법 등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희귀한 사례이다. 속집의 공포 양식은 향후 다포 건축의 전개 과정을 검토하는 데 있어 절대적인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바탕으로,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은 조선 초기불전 건축의 전통 양식과 사리신앙의 독창적인 표출이 이뤄졌으며, 우리나라 불전건축의 다양성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건축문화유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Jeokmyeolbogung Hall at Odaesan’s Jungdae in Pyeongchang, originally serving as a worship hall (baeden) before the subterranean reliquary (jigung), has long attracted scholarly attention as one of the five principal Jeokmyeolbogung shrines in Korea. Since the 2000s, academic surveys have highlighted its architectural value, revealing that it not only preserves stylistic features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architecture but also constitutes the sole surviving example of a Buddhist hall with a dual-structure plan, consisting of an inner and outer hall. This study reviews its construction chronology, spatial composition, and bracket system, thereby reassessing the architectural significance of the hall.
First, inscriptions discovered on the ridge beam confirm that the inner hall was initially built in 1401 and rebuilt in 1468. This finding establishes Jeokmyeolbogung as a new chronological benchmark in the study of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Second, the hall’s dual-structure plan?unprecedented in Korean Buddhist architecture?is presumed to derive from the gyeopjip (double-house) tradition of mountain dwellings found in inland regions such as Gangwon, Hamgyeong, and Gyeongbuk. This arrangementlikely served both as an adaptation to the harsh climate of Odaesan and, from the mid-Joseon period onward, as a means of safeguarding the structure when the worship hall was elevated in status as Jeokmyeolbogung through the deepening of relic worship (sarisinang).
Third, the hall is a rare case in which 15th-century bracket members and carving techniques survive intact. The bracket style of the inner hall provides an absolute reference point for futur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dapo (multi-bracket)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Jeokmyeolbogung Hall at Odaesan can be evaluated as a significant cultural heritage monument that embodies the traditional forms of early Joseon Buddhist architecture, expresses the unique manifestation of relic worship, and demonstrates the diversity of Buddhist hall construction in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 적멸보궁의 건립과 중창 시기 검토
Ⅲ. 이중 평면 구조와 지붕가구
Ⅳ. 적멸보궁 공포 구성과 양식 특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전쟁 전후 불교계 인명 피해의 기록: 대한불교조계종 소장《사찰전화피해상황조사보고(寺刹戰禍被害狀況調査報告)》 소개
- 오대산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의 <隨求卽得成佛圖>와 중수 기록 분석
-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의 건립연대와 건축 특성 검토
- 『慵齋叢話』를 통해 본 成俔의 가계와 교유
- 16세기 訴冤制度의 운영과 격쟁의 변화
- 홍시로 바라본 숭덕 연간 조·청 외교
- 당 후기 성덕번진 초기의 내정 –《李寶臣紀功載政頌》의 ‘載政’ 譯註를 중심으로–
- 1930-40년대 로스앤젤레스에서 유대계 미국인 주도 반파시즘 저항
- 동부유라시아론과 관련된 논저 4종 소개
- 『東征記』 저자 徐希震 小考
- 한국전쟁기 불교계 희생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 19세기 후반 오대산 獅子庵 香閣의 불화 연구
- 淸末 奉天 경찰의 風俗 관리
- 남북전쟁 이전 미국 기업법의 발전
- 통제된 신체, 강제된 침묵: 1970년대 미국에서의 원주민 여성 강제 단종
-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속집 단청연대 고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