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isk Factors for Optic Disc Swelling in Acute Primary Angle Closur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하주은(Joo Eun Ha) 백성욱(Sung Uk Bae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8, 321~32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급성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유두부종의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급성폐쇄각녹내장 환자 92명을 분석하였고, 시신경유두부종이 발생한 41안(시신경유두부종군)과 발생하지 않은 51안(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증상 후 내원 소요시간, 초기, 약물 치료 후, 레이저 시행 후 안압, 초기 동공산대 정도, 시신경유두직경에 대한유두연-황반오목거리의 비를 분석하였다. 발작 후 3, 6개월, 1년 시점의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RNFL) 두께, 1년 시점의시야 지표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신경유두부종군에서 초기 안압 대비 약물 치료 후 안압하강 정도가 작았으며(p=0.011), 동공산대 정도가 심하였다(p=0.046). 시신경유두부종군에서 발작 6개월 및 1년의 평균 circumpapillary RNFL (cpRNFL) 두께는 감소하였고, 시야 지표(mean deviation, pattern standard deviation)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동공산대 정도가 시신경유두부종의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p=0.027, hazard ratio: 1.161).
결론: 시신경유두부종군에서 6개월 및 1년 후 RNFL 두께 감소 및 상응하는 시야장애가 확인되었기에 급성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시신경유두부종을 방지하기 위한 임상적 조치가 필요하다. 시신경유두부종군에서 약물 치료 후 안압하강 정도가 적었고, 동공산대 정도가심하였다. 이는 동공차단이 심한 상태에서 시신경유두부종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추후 시신경유두부종에 대한 위험인자를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optic disc swelling in patients with acute angle-closure glaucoma (AACG).
Methods: We analyzed 92 AACG patients and classified them into those with optic disc swelling (41 eyes) and those without it (control, 51 eyes). The time from symptom onset to presentation, intraocular pressure (IOP) before and after initial treatment, pupil dilation, ratio of the disc-to-fovea distance to the disc diameter, visual field parameters at 1 year,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at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after attack were evaluated.
Results: In the swelling group, the IOP after medication was smaller compared to that before the initial treatment, whereas the pupil diameter was larger. The average cpRNFL thickness at 6 months and 1 year decreased compared to 1 month, correlating with the change in visual field paramete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upil diameter was a risk factor for optic disc swelling (hazard ratio: 1.161).
Conclusions: Optic disc swelling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RNFL thickness and corresponding visual field defects at 6 months and 1 year. Clinical measures to prevent swelling in AACG patients are necessary. There is a high risk of optic disc swelling under severe pupillary block conditio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the risk factors for optic disc swelling.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급성폐쇄각녹내장에서 시신경유두부종의 위험인자 분석
- 간헐외사시에서 속발내사시 예방목적의 내외직근 동시 후전: 탐색적 증례군 연구
-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맥락막박리 및 전방소실의 위험인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