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세기 후반 오대산 獅子庵 香閣의 불화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udy on 19th Century Buddhist painting in Odaesan Sajaam(獅子庵) Hyanggak(香閣)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정진희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3집, 107~147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대산 중대 사자암은 태조 이성계가 발원하여 재건한 왕실 원당이다. 1894년 사자암 향각에 봉안된 <중대 사자암 석가여래회도>와 <중대 사자암 신중도>는 도상적인 측면에서 19세기 말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화승들 사이에 공유되던 불화 도상을 대부분 답습하며 전환기적인 시대양식을 뚜렷이 보여준다.
조선 후기 불화 제작의 인력 구성은 같은 법맥을 따르는 승려 문중 내에서 필요한 인원을 충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근대기가 되면 불화 제작에 참여하는 화승의 구성은 문중이라는 범주를 벗어나 같이 불화를 그렸던 畫業을 인연으로 형성된 畵脈을 따르는 개방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그들은 範本이 되는 불화초를 공유하며 다양한 변용을 통해 화면을 구성했는데 이는 사자암 불화에서도 보이는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사자암 불화들은 그림의 제작을 후원했던 시주층이 오대산 주변에 거주하는 강원도 지역민이 아닌 왕실 관련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왕실 원당이었던 사자암의 역사성을 보여준다는 점 역시 이 불화들이 갖는 또 다른 의미라 할 수 있다. 오대산 사자암 불화들은 재원이 미약한 지방 사찰의 佛事를 수도권 지역 사찰의 승려가 화주가 되어 왕실 인물들의 시주를 받아 진행했던 19세기 후반 사찰 불사의 한 일면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사료로서도 가치가 인정된다.
영문 초록
The Great Sajaam(獅子庵) Hermitage of Odaesan is a royal temple rebuilt by King Taejo Lee Seong-gye’s. The Amitabha Assembly Painting of Jungdae Sajaam and the Guardian Painting of Jungdae Sajaam, enshrined in the Hyanggak(香閣) of Sajaam Hermitage in 1894, clearly exhibit the transitional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late 19th century. These paintings largely follow iconographic conventions shared among Buddhist monk-painters in Seoul and the Gyeonggi region during this period. The Buddhist paintings of Sajaam were royal-court-sponsored works, which were rare in the Gangwon region.
From financial support for production to the involvement of the monk-painters, all aspects of the project were managed from Seoul(京城化工). Temples that housed Buddhist paintings commissioned by the royal court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either longstanding royal temples or had been designated as royal temples and significantly rebuilt during that The reconstruction of Jungdae Jeokmyeolbogung(寂滅寶宮) in 1878 was led by the Seoul-based monk Hye-eun, who raised donations from court ladies, praying for the recovery of Queen Cheorin(哲仁王后). Similarly, in 1894, the restoration of Buddhist statues and the creationof Buddhist paintings at Sajaam were funded by donations from court ladies in celebration of the crown prince’s twentieth birthday. This project was overseen by the Gyeonggi-based monk Eung-ha, and the paintings were executed by monk-painters from Seoul.
Jeam Eung-ha(濟庵應荷), who supported the production of the Sajaam Buddhist paintings, was a disciple of Giheodang Tanhak(騎虛坦鶴) and a follower of Hwanseong Jian(喚醒志安) from the clan of Pyeonyang Eongi(鞭羊彦機). His involvement in Sajaam’s project followed the late Joseon tradition of monks assisting each other in Buddhist affairs within the same lineage. On the other hand, the monk-painters who actually created the artwork were connected through previous collaborations with painters from Heungguksa Temple.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at Jungdae Sajaam in Odaesan exemplifies a key characteristic of modern Buddhist painting: they were led by monks from the same lineage and executed by painters who, though not from the same clan, had prior collaborative experience.
The Shakyamuni Assembly Painting of Jungdae Sajaam and the Guardian Painting of Jungdae Sajaam demonstrate that, during the modern period, Jungdae Jeokmyeolbogung and Sajaam Hermitage functioned as royal votive temples, dedicated to praying for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These paintings also hold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i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yal court and Buddhism in the modern era. Furthermore, as representatives of the transitional period’s stylistic characteristics, these two Buddhist paintings from Jungdae Sajaam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the distinctive production pattern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Gangwon region during this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오대산 寂滅寶宮과 중대 사자암
Ⅲ. 사자암 향각 불화의 현황과 도상적 특징
Ⅳ. 사자암 향각 불화의 제작 배경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전쟁 전후 불교계 인명 피해의 기록: 대한불교조계종 소장《사찰전화피해상황조사보고(寺刹戰禍被害狀況調査報告)》 소개
- 오대산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의 <隨求卽得成佛圖>와 중수 기록 분석
-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의 건립연대와 건축 특성 검토
- 『慵齋叢話』를 통해 본 成俔의 가계와 교유
- 16세기 訴冤制度의 운영과 격쟁의 변화
- 홍시로 바라본 숭덕 연간 조·청 외교
- 당 후기 성덕번진 초기의 내정 –《李寶臣紀功載政頌》의 ‘載政’ 譯註를 중심으로–
- 1930-40년대 로스앤젤레스에서 유대계 미국인 주도 반파시즘 저항
- 동부유라시아론과 관련된 논저 4종 소개
- 『東征記』 저자 徐希震 小考
- 한국전쟁기 불교계 희생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 19세기 후반 오대산 獅子庵 香閣의 불화 연구
- 淸末 奉天 경찰의 風俗 관리
- 남북전쟁 이전 미국 기업법의 발전
- 통제된 신체, 강제된 침묵: 1970년대 미국에서의 원주민 여성 강제 단종
-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속집 단청연대 고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Sage Transmits His Mandate”: A Study on the Concept of “Mandate” in Wang Anshi's Yijing Thought
- An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College Students' “In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iddens' Modernity Theory
- A Study on the Coupling Coordination between Basic Public Services and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in Chongqing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